[농수축산신문=송형근 기자] 

인구 감소 등으로 우유 소비가 계속해서 줄어들고 있는 가운데 낙농업계는 올해 코로나19 여파로 학교 급식 중단 사태까지 겹치면서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2026년이면 미국과 유럽산 유제품에 대한 관세가 철폐되고 2033년부터는 호주와 뉴질랜드의 유제품에 대해서도 관세가 없어진다. 수입 유제품이 몰려올 것이 불을 보듯 뻔하지만 낙농가들을 위한 제도 개선, 생산비 절감 대책 등에 대한 문제는 쉽사리 해결책을 찾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유업체들은 원유 보관 기간을 늘리기 위해 분유나 멸균우유로 만들고 있지만 수요는 줄어들고 공급은 늘어난 현 시점에서 원유가격이 낮아지지 않는 것에 대해 유업계는 난색을 표하고 있다.

2013년부터 시행된 원유가격 연동제로 유업체는 할당된 원유를 낙농가로부터 구매하고 있지만 이 제도가 만들어질 때와 현재는 상황이 많이 달라졌다는 점을 주목해야 한다.

식품의약품안전처가 지난 2월 발표한 ‘2019 식품 등 수입동향’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우유 수입량은 1만1512톤으로 2015년 우유 수입량 1137톤보다 10배가 넘는 증가세를 보였다.

치즈, 발효유 등도 계속해서 수입량이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상대적으로 가격 경쟁력이 낮은 국내 낙농가의 원유를 구매해야 하는 유업체는 무관세 시대가 오기 전에 원유가격 연동제를 손봐야 한다는 입장이다.

낙농가와 유업체는 지난달 25일까지 다섯 차례에 걸쳐 원유 기본가격 결정을 위해 협상을 벌였지만 가격 합의를 이루지 못하고 오는 21일까지 협상 시한을 연장했다.

낙농가들은 정부의 환경 규제 강화, 사료가격·최저임금 등의 인상을 이유로 원유 기본가격이 인상돼야 한다는 입장인 반면, 학교 개학 연기 등으로 우유 소비가 감소하면서 유업체들의 손실액은 약 334억 원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져 양 측의 협상결과에 대해 낙농업계 관계자들의 시선이 모아지고 있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