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나다에서 유기농업이 활성화될 수 있었던 데는 결국 생산자를 비롯해 학계, 정부, 소비자들이 유기농업의 필요성을 느끼고 있다는데서 그 이유를 찾아볼 수 있다.
즉, 캐나다의 경우 유기농업을 둘러싼 각 분야의 사람들은 황폐해진 자연생태계를 복원하고, 그대로 유지해 `건강한 땅을 후대에게 물려줘야 한다''는 공감대가 널리 확산돼 있다는 것이다.
우리나라는 유기농업을 새로운 돈벌이의 수단으로 생각하는데 반해 캐나다는 본질적인 접근을 통해 유기농업을 발전시켜 나가고 있는 것이다.
농산물시장개방에서 이길 수 있는 품목은 무엇인가, 농가소득을 증진시킬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인가, 과잉생산되는 품목의 대체작물은 없는가 등 지나친 상업주의를 표방할 경우 오히려 소비자들의 반감을 불러올 수 있다는 점에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 할 것이다.

우리나라와 캐나다 양국은 거의 같은 시기인 1990년대초 유기농업을 본격적으로 시작한 것으로 알려졌으나 발전속도를 보면 엄청난 차이를 보이고 있는게 이를 뒷받침해주고 있다.
단순히 전체 농업에서 차지하는 유기농업의 비중만을 놓고 볼때 캐나다의 경우 2%인데 반해 우리나라는 0.2%에 불과할 정도로 발전속도가 더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캐나다는 우리나라 유기농민들이 부러워할 정도로 시내도처에 유기농산물 전문유통시설이 즐비한데다 그 규모 또한 적지 않은 것을 보면 캐나다 유기농업의 현주소를 쉽게 짐작케 해주고 있다.
정부간의 역할에서도 분명한 차이가 있음을 느끼게 해주고 있다.
우리나라와 캐나다 양국 모두 유기농업과 관련된 법과 제도를 마련해 놓고 있으나 운영면을 놓고 볼 때 캐나다는 자율을 강조하고 있는데 반해 우리나라는 보조금까지 주면서 중앙에서 모든 것을 직접 챙기려는 입장이다.

한 전문가는 “유기농업에 대한 정부의 역할은 정보수집을 비롯해 연구, 마케팅등 유기농업에 쉽게 접근할 수 있는 기초만 잡아주는 것 까지 이고 나머지는 민간차원에서 참여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는 우리정부가 유기농업과 관련한 법과 제도는 만들었으나 돈만 줄뿐 현장에 접목시키려는 노력이 부족한데다 기술개발도 소홀히 했음을 말해주고 있다.
또 캐나다는 국가차원에서 환경정책을 수립, 이 틀속에서 유기농업을 받아들이고, 실천하고 있으나 우리나라는 국가차원의 환경정책이 없는 것에서도 문제가 있다는게 전문가의 공통된 지적이다.

물론 캐나다와 우리나라는 국민들의 소득수준, 삶의 여건 등이 달라 규모 및 발전속도에서 차이가 생기는게 당연할 수도 있다.
그러나 문제는 유기농업에 대한 세계적인 추세에 대비해야 하고, 건강에 대한 소비자들의 관심이 지속적으로 높아지고 있는 점을 고려해 볼 때 유기농업의 중요성은 결코 적다고 할 수 없다는데 있다.
다행이 할인마트, 백화점등 대형유통업체들이 유기농산물의 취급비중을 늘리고 있는데다 유기농산물에 대한 소비자들의 인식도 좋아지고 있어 우리나라도 유기농업을 발전시킬 수 있는 여건이 서서히 조성되고 있다는 점이다.

서종혁 유기농업학회 회장은 “캐나다 브리티쉬 콜롬비아주 벤쿠버시의 규모는 우리나라 인천 수준임에도 불구하고 유기농 전문 유통업체가 성황을 이루고 있는 점을 고려하면 이보다 훨씬 규모가 큰 서울의 경우 분위기만 조성되면 유기농산물 유통이 살아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아울러 산지와 전문유통업체를 연결시켜줄 수 있는 물류센터도 함께 설치돼야 한다. 신선농산물인 유기농산물은 저장을 하지 않으면 대량유통이 어려운 만큼 저장 및 분배기능을 맡아줄 물류센터가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농업에 대한 인식도 양적인 식량안보에서 질적인 식량안보로 전환돼야 한다는 지적이다.
대량생산 및 유통, 세계화를 지향하는 현체제에서는 안전성을 보장할 수 없는 만큼 국내에서 재배되는 농산물이라도 안전성이 보장되는 유기농산물을 생산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중앙정부차원이 아닌 지방정부를 중심으로 유기농업 실천 프로그램을 마련해야 한다.
가령 서울시가 서울시민의 식수인 팔당상수원을 보호하기 위해 관련지역에 자금을 지원하고, 도농간의 교류를 활성화시켜 `유기농산물 팔아주기 운동''을 펼치고 있는 사례에서 볼 수 있듯이 수혜지역 소비자들의 지지를 받을 경우 유기농산물은 단순히 먹거리가 아닌 국민의 건강을 보존해줄 수 있는 매개체로 인식시킬 수 있다.
낙동강 수질문제도 농민이 이를 지키고 대구·부산등 도시민이 농민을 지지해 줄 수 있는 프로그램을 마련, 실천하는등 중앙정부는 정책등 기초만 만들어주고 나머지는 지방자치단체가 핵심이 돼야 한다.

특히 캐나다에서 보듯이<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