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수축산신문=김동호 기자]

 

바다위에 떠다니는 축구장

동해 북한수역에서 불법적으로 조업하던 암흑선단의 실체다. 길이가 최대 55미터에 달하는 중국발 등광조망어선이 집어등을 최대 7단으로 쌓으며 강도 높은 조업을 해왔다는 것이 국내외 연구진의 연구결과 밝혀졌다. 이들 어선은 대부분 AIS(선박자동식별장치)를 비롯한 VMS(선박위치모니터링시스템)장치를 작동하지 않은 채 조업했지만 위성기술을 포함한 첨단과학기술은 이 암흑선단의 실체를 백일하에 드러나게 만들었다.

이같은 연구결과는 국내 어업관리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연구진들은 여러 위성기술과 머신러닝을 통해 현장을 가지 않고도 중국어선의 불법조업 현황을 상세하게 밝혀냈다. 정보가 제한된 민간기구에서도 불법조업을 밝혀냈다는 것은 앞으로 불법어업 감시가 어떻게 이뤄져야 하는지를 보여준다.

인공위성과 인공지능(AI), 드론 등 새로운 기술은 매우 빠른 속도로 4차 산업혁명과 관련한 기술들은 매우 빠르게 발전하고 있으며 어업분야의 투명성 강화를 요구하는 국제사회의 목소리도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국내의 어업관리는 해상단속과 육상단속이라는 과거의 방식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국내에는 4만척이 넘는 어선들이 좁은 바다에서 뒤엉켜 조업하고 있으며, 이 가운데 중국어선의 강도 높은 불법조업까지 이뤄지고 있다. 기존의 단속으로는 이같은 상황을 해결하지 못했으며, 어업인간 갈등도 이어지고 있다.

이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정부차원에서 새로운 기술, 즉 위성기술과 AI, 드론 등 신기술을 활용한 어업감시시스템 구축에 나서야 한다. 단기적으로는 드론처럼 이미 상용화가 이뤄진 기술의 활용을 보다 확대해나가는 것에서 중장기적으로는 위성이나 인공지능까지 활용한 기술을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물론 이미 관련 기술을 갖추고 있는 비정부기구(NGO) 등과도 적극적인 협력관계를 구축, 보다 정밀한 감시체계를 갖춰야 함은 물론이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