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수축산신문=이문예 기자]

신용사업에만 몰입하고, 경제사업에는 아예 관심 없는 조합도 많아요. 농협의 정체성을 잃어버린 거지. 특히 도시 농·축협은 문제가 더 심각해요.”

농협법은 지역농협을 조합원이 생산한 농산물의 판로 확대 및 유통 원활화를 도모하는 조직이라 규정하고 있다. 조합원이 생산한 농산물을 제값 받고 팔아주는 것이 지역농협의 정체성이자 최우선 과제라는 것이다.

하지만 지난 20여 년간 도시 농·축협의 신용사업 중시, 경제사업 홀대는 오히려 점점 심화됐다.

경제사업 대비 신용사업의 비율은 특광역시 농·축협의 경우 19951.6이었지만 2016년엔 4.04로 크게 늘었다. 신용사업이 경제사업의 4배 이상으로 압도적 비중을 차지하게 된 것이다. 도 지역 농·축협의 경우 같은 기간 1.13에서 0.77로 변화, 경제사업의 비중이 늘어난 것과 대비된다.

이 같은 결과는 조합장의 무관심과 선거직이라는 태생적 한계에 기인하는 면이 크다. 단적인 예로 경제사업의 꽃이라 불리는 공동출하만 봐도 그렇다.

농산물 공동출하는 가격 교섭력·경쟁력을 높여 조합원 공동의 이익을 제고함으로써 협동조합의 존재 가치를 증명하는 일이기도 하다.

하지만 현실에선 공동출하의 필요성과 농협의 존재 가치 등과는 무관하게 조합장의 의지에 따라 사업 전개 여부가 결정된다고 봐도 무방하다.

선거로 당락이 좌우되는 조합장의 입장에선 신용사업이 굳건한 이상 굳이 농산물 판매에 목을 맬 이유가 없을 뿐더러 조합원 다수의 적극적 요구가 없는 한 공선출하로 긁어부스럼을 만들 필요가 없다고 판단하기 쉽기 때문이다.

도시 농·축협의 경제사업 활성화를 위해선 무엇보다 조합장들의 인식 개선이 선행돼야 한다. 조합장들은 왜 농협이 존재하는지’, ‘어떻게 조합원들에게 농협의 존재 가치를 증명할지끊임없이 고민하고 답을 찾아야 한다. 그래야 농협의 정체성도 바로 세울 수 있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