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수축산신문=이한태 기자]

 

주요 식량자원인 밀 자급률이 지난해 기준 0.7%로 20년째 제자리걸음인 것으로 드러났다.

이원택 의원(더불어민주, 김제·부안)은 지난 7일 농림축산식품부 국정감사에서 농식품부가 그동안 밀 자급률 제고를 위해 다양한 정책을 발표했음에도 불구하고, 현실을 반영하지 못해 실패했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 의원에 따르면 농식품부는 2011년 주요 곡물 수급 안정대책을 통해 밀 자급률 목표치를 2015년까지 10%수준으로 끌어올리겠다고 발표한데 이어 2013년에는 ‘2013~2017 농업 농촌 및 식품산업 발전계획’을 통해 밀 자급률을 15%수준까지 끌어올리겠다고 밝혔다.

이러한 농식품부의 계획에 대해 이 의원은 “2012년 밀 자급률이 1.7%였다는 점을 감안하면 10배 수준으로 끌어올리겠다는 무리한 대책이었다”고 평가하고 “2016년 발표된 식량산업 중장기 발전계획에서는 2020년까지 밀 자급률을 5.1%, 2018년 발표된 ‘2018~2022 농업 농촌 및 식품산업 발전계획’에서는 2022년까지 밀 자급률을 9.9%까지 끌어올리겠다고 현실을 반영하지 못한 구호를 4번이나 발표했다”고 꼬집었다.

게다가 정부가 밀 자급률 제고를 위해 밀 재배면적을 2016년 1만3800ha에서 지난해 2만8800ha까지 끌어올리겠다고 발표했지만 실제 국내 밀 재배면적은 2016년 1만440ha에서 지난해 3736ha로 무려 64%나 감소했다.

이 의원은 “정부의 밀 자급률 대책은 지속가능한 생산기반 구축 없이 목표 설정에 급급한 졸속 대책”이라며 “생산단계에서의 고품질 재배기술 보급과 유통단계에서의 품질관리 기반 조성 등 밀 재배를 위한 기초기반 조성 후 자급률 목표치를 순차적으로 상향하는 실효성 있는 대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