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수축산신문=박유신 기자]

 

얼마 전 베이비부머지방 소멸’, ‘농촌 공동화문제를 연계한 발표가 있어 흥미를 끌었다.

도시계획 전문가인 마강래 중앙대 교수는 지난 2일 온라인으로 열린 ‘2021 지속가능농정포럼에서 농촌이 살아야 나라가 산다라는 주제로 기조발제를 했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1700만여 명에 달하는 베이비부머로 인해 직면하게 될 사회적 문제를 농촌에서 일정부분 담당하도록 귀촌·귀향을 지원하는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는 것이다.

우리나라는 1962년 시작된 경제개발5개년계획과 1972년 시작된 국토종합개발계획 과정을 거치며 이촌향도(농촌에서 도시로)를 가속화 시켰고 도시화율은 급격히 높아졌다. 농촌이 비어버린 것이다.

이런 가운데 과거에는 농촌에서 도시로의 인구유출이 대부분이었다면, 현재는 중소도시에서 인근 대도시로의 인구유출이 많아졌고 앞으로는 수도권을 중심으로 산업이 빠르게 재편되면서 지방 대도시에서 수도권으로의 인구유출이 가속화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또 다른 사회적 변화로는 두 차례의 베이비붐으로 인한 급격한 고령화다. 우리나라는 출산율이 급등한 시기였던 1955~1964년생이 800만여 명에 달하고 출생아 수가 급등했던 1965~1974년에 태어난 이들이 900만여 명에 이른다. 한마디로 현재 45세에서 65세 사이의 인구가 1700만여 명에 달하고 은퇴시기도 빨라지고 있다. 기존 765만여 명에 달하는 고령자에 이들 베이비부머마저 순차적으로 편입됐을 경우 우리 사회는 과연 이들을 맞을 준비가 돼 있을지 의문이다.

이미 이들 세대의 농업·농촌 이동은 시작됐다.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지난해 총 329082가구, 46645명이 귀농·귀촌했다. 그 영향인지 농촌인구도 20108758000명에서 20159392000, 20179629000, 20189714000명으로 조금씩 늘고 있다. 특징 중 하나는 베이비부머 세대 은퇴 영향 등으로 60대 귀농가구 비중이 점차 증가하며 귀농가 10농가 중 3농가(30.3%)60대 이상이었다는 점이다.

이런 가운데 농촌이 가지는 의미와 역할도 변화하고 있다. 1980년대까지 농촌은 국가 경제발전을 지원하기 위한 식량과 노동력의 공급 역할이 강조됐다면 2000년대에 들어서는 지역사회의 활력을 높여주는 핵심공간으로서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결국 소위 똑똑하고 능력 있고 경제적 여력도 있는, 여기에 고향이 농촌인 베이비부머를 농촌으로 유입, 지방의 인구소멸은 물론 농촌 공동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기반을 다지는 게 앞으로 풀어야할 숙제이기도 하다. 이는 국가 차원에서도 농촌사회의 활력을 되찾고 국토 균형발전을 도모할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그렇다면 어떻게 베이비부머 세대를 농촌으로 유입시킬 수 있을 것인가? 우리는 어쩌면 이 문제에 대한 해답을 알고 있을 지도 모른다. 베이비부머가 기꺼이 귀촌·귀향을 결심할 수 있도록 농촌을 삶의 질이 보장되는 살만한 공간으로 만들면 된다. 100세 시대, 나이가 들수록 보편적 행복의 척도인 경제, 건강, 사회적 관계가 중요시되는 세상이다.

베이비부머가 귀촌·귀향을 하더라도 경제적 활동을 계속할 수 있도록 일자리를 만들어주고 나이가 들어도 건강한 삶을 이어 가도록 의료서비스 확충과 각종 커뮤니티를 위한 공간과 기회를 마련해 주면 된다.

요즈음 사회 변화를 보면 자신이 얼마나 소유하고 있는지 보다는 내게 주어진 것을 얼마나 즐기는가가 행복의 기준이 되는 것 같다. 금전적으로 더 주겠다는 개념보다 베이비부머, 능력 있는 그들이 가진 능력을 농촌에서 펼쳐 볼 수 있는 장을 마련해 주는 게 필요하다.

이를 통해 베이비부머 세대가 은퇴 후에도 농촌에서 안정적인 삶을 영위할 수 있다면 이후 세대인 젊은이들이 농업·농촌을 바라보는 시각도 자연스레 변화하지 않을까.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