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수축산신문=박유신 기자]

사망자 수가 출생자 수보다 많은 인구 자연 감소세가 갈수록 커지고 있다.

통계청이 최근 발표한 202010월 인구동향에 따르면 지난해 10월 출생아 수는 21934명으로 전년동월 대비 14.4%나 감소했다. 반면 지난해 10월 사망자 수는 26509명으로 전년동월 대비 3.7% 증가했다. 201911월 처음으로 사망자 수가 출생자 수를 앞지른 가운데 갈수록 그 격차도 커지고 있다. 이런 가운데 혼인 건수 역시 16473건으로 전년동월 대비 19% 감소했다.

특히 코로나19로 인해 수도권으로의 인구 유입은 갈수록 늘어나는 반면 지방의 인구 유출은 젊은층을 중심으로 갈수록 심각해지면서 지방 소멸 위험이 가속화 되고 있다.

실제 국가통계포털의 인구이동통계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3~4월 수도권 순유입 인구는 27500명으로 전년 동기 1200명보다 2배 이상 증가했다.

이렇다 보니 농촌이 위치한 읍··동 기준 소멸 위험지역도 매년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한국고용정보원의 조사 결과 지난해 전국 228개 시··구 중 46%, 105곳이 '소멸위험지역'으로 꼽혔다. 1년 전에 비해 12곳이 증가했다. 특히 지난해 새로이 여주, 제천, 무안, 나주 등 농촌이 위치한 지역의 소멸위험지수가 0.5 이하로 나타났다. ‘한 지역의 20~39세 여성인구 수를 해당 지역의 65세 이상 고령인구 수로 나눈 값인 소멸위험지수는 지수가 0.5 아래로 내려가면 해당 지역은 30년 뒤 사라질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있다. 따라서 확대 해석하면 30년 후면 이들 지역이 사라진다.

이미 농촌 마을에서 갓난아이의 울음소리를 듣기 어려운 게 현실이고 젊은이들이 떠난 자리에는 65세 이상의 노인들이 마을을 지키고 있는 모습을 흔히 볼 수 있다.

지방소멸은 지역소멸을 의미하며 이는 농촌소멸로 연결된다. 이제는 지역소멸, 농촌소멸에 대한 냉철한 성찰이 필요한 때다.

그런 의미에서 귀농·귀촌은 농업·농촌의 소멸과 지역소멸을 막는 촉매제가 될 수 있는 만큼 앞으로 중앙정부나 지자체가 추구해야 할 중요한 정책과제이다.

다행히 코로나19 이후 농촌에 대한 인식이 크게 좋아졌고 젊은이들의 농업·농촌 유입도 꾸준히 이뤄지고 있어 다행스러우나 46.6%(2019년 기준)에 달하는 농가인구 고령화와 22.1%에 달하는 농·어촌(·) 고령화를 막기에는 갈 길이 멀다.

농촌의 현실을 제대로 진단하고 농촌을 새로운 공간으로 바꿔가는 작업을 서두르지 않는다면 농촌소멸이 현실화 될 수 있다.

더불어 지속적인 귀농·귀촌을 유도하기 위해서는 지역과 농촌의 삶의 서비스를 높여 안정된 삶을 영위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면 된다. 제대로 된 삶을 살아갈 수 있는 곳이라면 자연스레 사람들이 모여들고 그 과정에서 새로운 일자리도 생길 것이다. 이는 귀농·귀촌인들이 농촌에 안정적으로 정착하도록 주거와 일자리 제공을 도우며, 지역 구성원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면 된다. 여기에 농업·농촌이 가진 자원을 활용해 다양한 사회서비스를 제공, 지역에 활력을 불어넣는 작업도 필요하다.

올해는 농업·농촌이 지역소멸을 극복하는 대안으로써 자리 잡을 수 있는 한해가 되길 희망한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