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수축산신문=서정학 기자]

탄소중립을 실현하겠다는 구호가 여기저기서 들린다. 한 산업에서 탄소중립을 이룬다는 것은 경제 활동 과정에서 배출한 만큼의 탄소를 저감 혹은 다시 흡수시키겠다는 의미다. 임산물을 재배하고 나무를 키우는 임업 생산 과정에서도 일부 탄소가 배출되기 때문에 산림청도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다양한 정책과 사업을 발표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임업 활동 중 하나인 벌채도 중요하게 고려되고 있다.

탄소중립을 위해 벌채가 필요하단 말은 언뜻 역설적으로 들린다. 나무가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산소를 내뱉는다는 사실은 상식으로 널리 알려져 있는데, 그런 나무를 베는 벌채 활동이 왜 탄소중립 실현 과정에서 논의돼야 하는가? 이는 벌채의 목적에 나무를 베어 국토를 개발하고 경제적 이익을 얻는 것뿐만 아니라 나무의 수종과 연령을 갱신하는 것 등도 포함되기 때문이다.

나무는 자라면서 이산화탄소를 필요로 하지만 나이를 먹을수록 그 필요량은 적어지게 된다. 나이를 먹을수록 생장이 더뎌지는 만큼 필요로 하는 이산화탄소도 적어지는 것이다. 수종마다 다르지만 산림의 탄소흡수량은 보통 식재된 지 21~30년이 지난 3영급때 정점을 찍었다가 이후 지속적으로 줄어드는 것으로 확인된다. 이 가운데 현재 국내에서 6영급 이상 산림면적 비율은 지난해 기준 10.2%이며 2050년에는 72%까지 상승할 전망이다. 2018년 기준 국내 산림의 온실가스 흡수량이 연간 4560만 톤으로 확인됐는데, 산림의 노령화가 지속된다면 2050년에는 1400만 톤까지 줄어들 것으로 예상되는 상황이다.

이처럼 산림의 노후화와 탄소흡수량의 저감 문제를 해결하려면 노령목의 적절한 벌채와 재조림이 반드시 필요하다. 다만 아직까지 벌채에 대한 국민 인식이 부정적이라 이를 개선하는 일도 병행돼야 할 것이다. 산림청이 2019년 벌채인식 관련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응답자의 30% 가량은 부정적이라 답했다. 향후 산림분야 탄소중립 정책을 실시하는 과정에선 사람들이 벌채는 곧 산림과 자연의 파괴라는 단순한 생각을 지양하고, 국가 경제발전은 물론 건강한 산림생태계 유지를 위해서도 적절한 벌채는 필요한 일임을 인지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