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수축산신문=홍정민 기자]

 

퇴비 부숙도 기준이 오는 25일 시행됨에 따라 퇴비의 부숙도 등 품질관리 실태와 농경지 살포실태에 대한 정부의 관리가 보다 강화될 예정이다.

농업환경 보존과 경제적인 이익 창출이라는 측면에서 볼 때 양질의 퇴비생산과 농지환원시 적정사용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끊이지 않는 상황에서 큰 틀에서 정부의 가축분뇨관리체계는 양질 퇴비생산, 위생적 퇴비시설, 퇴비 품질 등급화 등 퇴비화 관리와 양질 액비생산, 위생적 액비시설, 액비 품질 등급화 등 액비화관리를 필두로 농지환원관리, 수질환경관리, 유통촉진과 수요확대는 물론 사양관리 개선과 신사료개발, 축사내외 악취발생경감, 시설과 처리방법개선 등 발생량 감축관리까지를 모두 포함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최근 한국농촌경제연구원에서 발표한 경축순환농업 실태분석과 활성화 방안 연구 보고서가 업계의 관심을 모으고 있다.

경축순환농업 실태 분석과 활성화 방안 연구를 통해 나온 결과여서 더욱 주목되는데 경축순환농업은 추진에 적지 않은 어려움들이 있지만 국가 내 자원을 활용하기 때문에 해외 의존도를 낮추고 글로벌 리스크를 줄일 수 있는 데다 환경적·경제적 측면에서 지속가능한 농업을 가능하게 한다는 설명이다.

농경연의 발표 자료를 통해 기존 양분 투입 현황을 살펴보면 2011년 이후 화학비료 사용량이 ha당 연평균 1.8% 증가하고 있는데다 가축분뇨 발생량, 부산물비료 생산량이 증가하고 있어 토질과 수질오염 가능성이 여전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비료비와 사료비는 생산비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2019년 기준 각각 9.9%, 35.8%를 차지하며 그 비중이 소폭 확대되고 있는 모습이다. 이런 와중에 우리는 화학비료와 배합사료 원료 대부분을 해외에 의존하고 있어 금융위기, 전염병 세계 대유행, 이상기후 등 글로벌 위기로 가격상승의 위험이 상존하고 있다. 결국 이러한 환경적 의무와 생산비 부담은 지속가능한 농업의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어 경축순환농업이 더욱 주목을 받을 수밖에 없다.

지난 11일 경북 고령에선 ()친환경자연순환농업협회의 제7대 회장 취임과 임원진 구성에 이어 2021년 제1차 정기 이사회를 통해 경축순환농업 완전정착을 위한 결의를 다졌다. 경축순환농업이 제대로 정착되기 위해선 국민의 높아진 눈높이를 충족하기 위해 우선 생산단계에서 퇴·액비 품질을 상향평준화 시켜야 한다는 점은 이젠 두말하면 잔소리다. 또한 국민 신뢰를 제고하기 위한 투명한 유통 등도 필요하다.

그러나 경축순환농업이 보다 활성화되기 위해선 농경연의 자료에도 제시돼 있듯 산재돼 있는 저해 요인을 극복할 수 있는 다양한 법·제도적·경제적·기술적·사회적측면의 활성화 방안을 마련하고 추진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가축분뇨 퇴·액비화 시설의 운영 비용 지원, 농식품부산물 사료화의 초기 투자 비용 지원 확대, 농식품부산물 원료 확보 관련 정보 공유 플랫폼 구축, 악취 저감 기술개발 등을 적극 고려하고 친환경농어업 육성 및 유기식품 등의 관리·지원에 관한 법률상 예외 조항을 통해 액비의 친환경농자자재 인정, 퇴비·액비 유통협의체 구성·운영 의무화 등이 필요하다는 전문가들의 지적도 눈여겨볼 필요가 있다.

우리는 경축순환농업이 환경적 의무 이행에 유리하고 생산비 절감효과 등으로 지속가능한 농업에 부합한다는 점을 다시금 주목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