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수축산신문=이남종 기자]

 

최근 농촌진흥청은 데이터를 기반으로 과학영농을 실현하고 지속가능한 농업을 구현하기 위한 디지털농업 촉진 기본계획을 발표했다.

이를 통해 올해부터 2025년까지 5개년 계획으로, 농업기술 데이터 생태계 구축과 농업생산기술의 디지털 혁신을 구축하고 유통·소비·정책을 지원하겠다는 방침이다.

그렇다면 디지털농업이란. 디지털농업은 일반적으로 정밀농업과 스마트농업을 포괄하는 개념적 용어로 사용되고 있다.

정밀농업은 같은 농지에서도 필요로 하는 투입재, 즉 물이나 비료·농약 등을 적기·적소에 적량만 사용해 생산성과 환경부담을 저감하고자 하는 영농방식을 말한다. 스마트농업은 첨단정보통신기술(ICT)과 인프라를 농업에 접목, 생산성과 영농작업의 효율성을 높이고자 하는 영농방식으로 2000년 이후 발전해 우리나라는 주로 시설원예와 축산을 중심으로 발달하고 있어 노지 스마트팜으로의 영역확장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디지털농업은 정밀농업기술에 지능형 네트워크와 데이터 관리를 결합한 스마트농업기자재를 투입하고 여기에 빅데이터와 인공지능(AI)을 활용, 농업부문에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것을 의미 한다. 즉 디지털농업은 단순히 농업생산의 생산성 증대만을 목표로 하는 것이 아니라 농업의 생산에서 유통, 소비에까지 이르는 농업 전 과정을 아우르는 방의의 개념으로 정의된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스마트농업 세계 시장규모는 138억 달러에서 연평균 98% 성장해 2025220억 달러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향후 코로나19로 세계 식량체계 재편이 필요한데 그 과정에서 디지털농업의 역할이 커질 것으로 예상되며, 구글이나 몬산토 등 글로벌 IT(정보통신농업기업도 디지털농업 관련 스타트업을 인수, 투자를 확대하고 있다. 또한 미국이나 EU(유럽연합), 일본, 중국 등 주요국은 국가적 차원에서 농업의 디지털화를 위한 각종 정책과 투자를 집중하고 있다.

이러한 가운데 우리나라도 뒤늦게나마 2018년부터 디지털농업의 개념정립과 기본계획을 수립하고 이번 디지털농업 촉진 기본계획을 발표하는 등 대응에 나선 것은 매우 고무적이라 할 수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 우리나라 디지털농업 활성화를 위한 과제는 산재해 있다.

전문가들은 민간중심의 디지털농업 활성화를 위한 농산업기업 참여유도를 우선과제로 꼽고 있다. 타산업에서 IT분야의 벤처가 활성화되고 있는 것과 같이 데이터 기반 디지털농업의 경우 기존 농업보다 민간주체 참여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공공과 민간협력의 데이터를 수집·분석·활용 체계를 구축하되 단기에는 정부중심, 중장기적으로는 민간기업의 참여 확대 체계를 유도하는 지속가능한 데이터 생태계구축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또한 디지털농업 R&D사업화를 통한 경영혁신을 이루기 위해서는 기술금융을 활성화하는 한편 사업화·실용화를 위해 농업부문 가치평가를 고도화 필요성도 제기된다.

데이터경제시대에 대응, 새로운 디지털역량을 갖춘 농업인의 육성 또한 중요하다. 농업인들이 농축산 생산활동에 필요한 디지털교육을 받고 스마트팜이나 데이터 활용과 같은 프로그램도 구축해야 한다.

이같이 농업의 디지털화는 코로나19로 촉발된 국내 농산업의 위기를 극복하고 세계시장에서 새로운 기회를 창출할 수 있는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지속가능한 농업·농촌과 식량안보를 위해 국가적인 역량 집중이 필요한 시점이라는 점을 강조한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