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수축산신문=이문예 기자]

‘구독서비스’, 이젠 낯설지 않은 풍경이 됐다. 고작 유제품이나 신문 정도에 그치던 구독서비스는 이제 영상물, 의류, 미술품, 반찬, 꽃, 농산물 등 다양한 범위로 그 영역을 확장해 나가고 있다. 개인이 무언가를 소유해야 누릴 수 있던 ‘소유경제’에서, 모두가 함께 소유하는 ‘공유경제’로, 이제는 그때그때 필요한 것을 경험하는 ‘구독경제’로 넘어가고 있는 것이다. 

미국 시장조사·컨설팅 회사 가트너는 2023년이면 소비자가 경험하는 서비스의 75%가 구독화된다고 예측했다. 구독경제가 확장하고 있다고는 하지만 불과 2년 만에 그렇게까지 급격하게 삶의 형태가 변화할 수 있을까 의문도 든다. 하지만 ‘구독서비스의 일상화’가 부정하기 어려운 현실이 돼가는 것은 분명해 보인다. 

이런 시장의 변화 속에서 농축산물 구독시장을 들여다보면 여전히 가야할 길은 멀어 보인다. 코로나19 사태를 계기로 이제 막 오프라인에서 온라인으로 무게추가 옮겨간 상황에서 또 다른 변화를 맞이하기엔 버거워 보이는 게 사실이다.

변화를 맞이할 환경도 안 돼 있다. 농축산물 구독 서비스는 다양한 농축산물을 한데 모아 정기적으로 배송할 수 있는 시스템과 물량 확보가 가장 중요한데, 이런 역할을 할 중심축이 제대로 보이지 않는다. 아직은 개개 플랫폼을 통해 이뤄지고 있어 의지가 있는 농업인들도 대거 참여하긴 어렵다는 한계도 있다. 

정부와 지자체 등을 중심으로 ‘소상공인 구독경제 생태계’를 조성해 나가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는 이유다. 말 그대로 플랫폼 구축과 관련 서비스와 마케팅 등을 정부와 지자체가 저렴한 가격에 제공하고, 품목별 또는 지역별로 꾸린 조합이나 단체가 자유롭게 참여할 수 있도록 ‘판’을 깔아주자는 이야기다. 이 과정에서 산지 장악력을 가진 농협도 중요한 역할을 담당해야 할 것이다. 

최근 거센 변화의 바람은 우리 농업계에 빠른 태세전환을 요구하며 큰 부담을 안기고 있다. 하지만 도태가 일상이 된 치열한 생존경쟁에서 살아남으려면 누구보다 빠르게 변화를 인지하고 움직여야 한다. 이제 농업계도 구독경제의 바람에 순항해야 할 때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