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생태계 복원·수산자원회복 기여했지만 연근해어업 생산량은 감소
바다숲, 탄소중립 기여위해 탄소흡수능력 평가 필요성 제기
바다숲 조성사업 통한 해양생태계 개선 성과
어업인 체감도는 낮아
산림녹화 관점에서 접근해야

[농수축산신문=김동호 기자]

바다숲 조성사업은 해양생태환경개선과 갯녹음해소 등에 기여하고 있다. 특히 해조류가 탄소흡수능력이 뛰어난 만큼 해수부는 2050년 탄소중립을 위해 바다숲 조성사업을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사진은 한국수산자원공단이 바다숲을 조성하고 있는 모습.
바다숲 조성사업은 해양생태환경개선과 갯녹음해소 등에 기여하고 있다. 특히 해조류가 탄소흡수능력이 뛰어난 만큼 해수부는 2050년 탄소중립을 위해 바다숲 조성사업을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사진은 한국수산자원공단이 바다숲을 조성하고 있는 모습.

 

바다숲 조성사업은 바다사막화로 알려진 갯녹음을 해소하기 위해 실시된 사업으로 지난해까지 26644ha를 조성했다.

정부는 2012년 연안생태계 복원과 해양생태계의 중요성에 대한 시민들의 관심을 고취하고자 매년 510일을 바다식목일로 지정했고 올해에는 지난 10일 부산항 국제여객터미널 컨퍼런스홀에서 바다의 숲, 미래의 꿈을 주제로 기념식을 개최했다.

바다숲 조성사업의 성과와 과제에 대해 살펴봤다.

 

# 해양오염·해수온도 상승에 갯녹음 증가

바다숲은 해저에 다시마, 감태, 모자반 등 해조류가 모여 육상의 숲처럼 무성하게 자라난 지형을 의미한다. 바다숲은 물고기의 산란·서식장을 제공하기에 수산자원의 회복과도 관련이 있으며 바닷속 생태계의 기초를 이룬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하지만 성게처럼 해조류를 먹는 조식동물이나 영양염류의 부족, 해양수질오염, 해수온도 상승, 해양환경오염 등으로 인해 해저암반 표면에 서식하는 해조류가 급감, 암반이 하얗게 변하는 갯녹음현상이 발생한다. 특히 우리나라에서는 2000년대 후반부터 우리 근해에서 갯녹음이 급격히 증가했다.

실제로 한국수산자원공단이 동··남해 제주 해역에서 실시한 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조사대상 암반 38033.5ha 중 정상인 암반은 25303.3ha(66.5%)였고 갯녹음이 진행된 해역은 12730.2ha(33.5%)였다. 갯녹음 해역 중 현재 갯녹음이 진행중인 해역은 7789.2ha(20.5%)이고 갯녹음이 심화된 해역은 4941ha(13.0%) 였다.

 

# 13년간 바다숲 26644ha 조성

해양수산부는 2009100억 원을 투입, 7개소에 121ha의 바다숲을 조성한 것을 시작으로 13년간 3443억 원을 투입, 211개소에 26644ha의 바다숲을 조성했다.

이를 통해 연안생태환경개선과 갯녹음해소 뿐만 아니라 지역과 국가의 부가가치와 일자리를 창출하는 성과를 거뒀다.

수산자원공단에 따르면 연안생태계의 건강성 지수는 20162.712에서 20172.729, 20182.757, 20192.812, 20202.922 등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생태계의 건강성 지수는 해조류와 저서동물의 생물종 다양성 지수, 종 균등도 지수의 합을 의미한다.

또한 바다숲 조성으로 갯녹음 해소율도 높아졌다. 갯녹음 해소율은 20169.828%에서 201710.406%, 201811.355%, 201915.146%, 202019.616% 등 매년 개선되고 있다. 더불어 바다숲 조성을 위해 2009~2019년 간 사업비 2809억 원을 투입, 지역과 국가 전체적으로 5005억 원 가량의 생산유발금액을 기록했으며 2258억 원의 부가가치 창출, 5224명의 일자리를 창출했다는 것이 수산자원공단 측의 설명이다.

# 해수부, 탄소중립 위해 바다숲 조성 확대 추진

해수부는 2050년 탄소중립에 기여하고자 바다숲 조성사업을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포항공대가 2019년 실시한 바다숲 탄소흡수력 조사에 따르면 해조류는 광합성을 할 때 육상에서 같은 면적의 열대숲이 저장하는 탄소량에 비해 1~2배 가량을 저장할 수 있어 이산화탄소 저감에 유용하다. 동해 연근해의 바다숲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에서는 바다숲 1ha가 연간 3.37톤 이산화탄소상당량을 흡수하는 것으로 나타나 54000ha의 바다숲을 조성할 경우 연간 18만 톤 이산화탄소상당량을 흡수하는 것으로 추산됐다. 다만 바다숲이 탄소중립에 기여하기 위해서는 바다숲의 탄소흡수능력을 제대로 평가할 필요성이 제기됐다.

포항공대 연구팀은 보고서에서 탄소포획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해안서식지를 복원하는 방법의 일환으로 바다숲의 조성도 필요하지만 바다숲 블루카본을 탄소시장에 통합시키기 위해서는 바다숲의 탄소흡수능력을 제대로 평가하는 것이 우선돼야 한다이번 연구에서 규명한 바다숲의 탄소흡수량 평가방법과 결과를 바탕으로 전국 단위로 조사를 확대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따라서 해수부는 각 해역별 바다숲의 탄소흡수량을 산정하기 위해 관련 연구를 실시하고 갯녹음발생 우려가 있는 천연 해초숲을 발굴해 보호·보전한다는 계획이다.

# 낮은 체감도에 곱지 않은 시선

바다숲 조성사업을 통한 해양생태계 개선 성과에도 바다숲 조성사업에 대한 어업인의 시선은 곱지 않다.

해수부는 바다숲 조성사업을 통해 연안생태계를 복원, 수산자원회복에 기여한 것으로 평가하지만 바다숲조성사업이 실시된 이후에도 연근해어업 생산량은 꾸준히 감소하고 있다. 실제로 통계청 어업동향조사에 따르면 20091226966톤이었던 연근해어업 생산량은 2016907580톤까지 줄어든데 이어 지난해에도 932322톤을 기록했다. 연안생태계의 건강성 지수와 갯녹음 해소율이 꾸준히 높아지고 있는 것과는 상반된 결과다.

이 때문에 바다숲조성사업은 어업인들의 만족도가 높지 않으며 예산이 필요한 사업이 거론될 때마다 바다숲 조성사업 예산을 전용하는 것이 어떠냐는 주장이 제기되기도 한다. 실제로 휴어지원제의 필요성이 대두됐을 때도 어업인들은 바다숲 조성과 인공어초 사업 등을 전액 삭감, 휴어지원제로 활용할 경우 수산자원회복에 더 많은 기여를 하게 될 것이라고 주장한 바 있다.

또한 수산자원분야의 전문가들도 바다숲 조성사업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인정하지만 바다숲 조성이 수산자원회복에 직접적으로 이어지는 것처럼 설명하는 것은 피해야한다는 입장이다.

수산자원분야의 한 전문가는 “2030년까지 54000ha의 바다숲을 조성하겠다고 했는데, 육상에서 54000ha는 넓은 면적이겠지만 우리 바다에서 수백개소로 나눠진 54000ha는 거의 점처럼 보이는 수준밖에 안된다바다숲조성사업을 수산자원회복 사업의 일환으로 보기에는 투입하는 예산 대비 효율성이 굉장히 낮은 사업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그는 바다숲조성사업은 생태계를 복원하는 것이 목표인만큼 필요한 사업이라며 바다숲 조성사업은 해양생태계 복원 등이 목적이라는 것을 분명히 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류정곤 한국해양수산개발원 명예연구위원도 바다숲 조성사업이 어업인을 위한 사업이라는 점을 강조하다보면 결국 체감도의 문제가 발생할 수밖에 없다바다숲은 산림녹화와 같은 관점에서 접근해야하며 해양생태계의 건강성을 높이는 것으로 사업의 필요성을 알려 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