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수축산신문=이문예 기자]

과연 농협중앙회가 추진해 온 연합사업은 계륵인가? 소농 다품목 구조인 전통 농업 하에서 농업인들의 소득 향상을 위해 추진해 온 연합사업이 회의론에 빠졌다. 신유통이라 일컬어지는 대형 유통업체들이 등장하면서 이에 대응해 교섭력을 키우고자 했던 연합사업이 한계에 다다르면서 궤도 수정이 불가피한 데 따른 것이다.

그동안 농협중앙회는 신유통에 맞서 제 목소리를 내기 위해선 물량을 규모화해 조직적으로 대응해야 한다는 논리를 세우고 연합사업을 적극 추진해 왔다. 전국 시·군 단위 조직당 1개의 연합사업단을 유지할 정도로 세를 키우고 사활을 걸다시피 한 게 그것이다.

그럼에도 산지는 농협중앙회의 의욕과는 달리 상대적으로 소극적 대응을 하거나 심지어는 ‘곶감’만 빼먹겠다는 심사도 적지 않았던 게 사실이다. 농협중앙회 입장에선 힘이 빠질 수밖에 없는 대목이다. 연합사업에 대한 무용론부터 소극적인 지역농협을 배제해야 한다는 푸념이 나오기에 충분하다는 얘기다.

실제 연합사업단에서 일했던 한 관계자는 “이 정도까지 했는데 따라오지 않는 조합은 어쩔 수 없지 않느냐”고 지적했다.

여기다가 연합사업을 바라보는 농협중앙회 결정권자의 의중에 따라 부침이 심했던 터라 전체적인 분위기는 그리 썩 좋아 보이지 않는다.

하지만 연합사업은 그동안 규모가 작아 농가 조직화 여력이 부족한 조합을 이끌어 조합공동사업법인의 형태로까지 발전할 수 있도록 돕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해 왔다. 단순히 효율로만 따지자면 언제 포기해도 이상할 게 없는 사업이지만, 그럼에도 농협중앙회가 연합사업을 포기하지 않았던 이유이기도 하다.

어려움에 봉착했다고 쉬이 포기해선 안되는 것들이 있다. 연합사업도 그렇다. ‘판매농협 구현’이라는 농협중앙회의 약속은 상투적인 말로 그쳐선 안된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