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수축산신문=이한태 기자]

AFP통신은 지난 20일(현지시간) 남극에서 제주도 면적의 2.3배가 넘는 세계 최대 크기의 빙산이 바다로 떨어져나갔다고 전했다. 이제는 누구나 한번쯤 들어봤을 법한 지구온난화의 영향이다.

지구온난화의 영향은 해를 거듭할수록 심각성을 더하며 기후 위기라는 말을 낳고 있는 지경에 이르고 있다. 실제로 많은 과학자들이 지구온난화의 영향으로 이전과는 다른 양상의 자연재해가 발생하고 있다고 전한다. 불확실성이 커져 빈도나 정도의 예측이 어려워지고 있다는 것이다. 극심한 가뭄과 폭염, 해일, 장마 등 이전과는 비교하기 어려운 자연재해에 기후위기라는 말이 과장이 아님을 실감하고 있다. 일부에서는 코로나19를 비롯한 바이러스 등 전염병 역시 기후의 영향에 따른 것이라는 주장을 하고 있기도 하다.

이러한 위기감으로 국내외에서는 탄소중립을 선언하고, 탄소배출을 줄여나가거나 탄소흡수를 위한 노력을 강화하겠다는 다짐을 하고 있다. 이에 친환경·재생에너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화석연료 사용에 대한 페널티가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러한 분위기는 최근 많이 회자되고 있는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에 대한 강조에서도 확인된다. ESG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서 한 단계 나아간 개념으로 기업이 환경에 영향을 최소화하고,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동시에 투명한 지배구조를 위해 노력할 것을 요구한다. ESG 경영을 하지 않는 기업은 투자를 받거나 사업을 추진하기 어려워지고 있으며 앞으로 이러한 분위기는 더욱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와 관련해 많은 농산업계 CEO들은 농산업의 특성상 환경과 관련한 부분이 가장 까다롭다고 토로한다. 농산업은 농업의 생산성 증진과 농작업 편의를 주된 발전 방향으로 설정해 발전해왔으며 그 과정에서 화석연료와 다양한 화학물질을 활용해왔기 때문이다. 이는 농산업계에 대한 부정적인 이미지로 작용, 투자나 지원을 이끌어내기 어려워지고 농약(작물보호제)이나 무기질 비료의 사용을 지양해야 한다는 정책 기조로 이어져 산업의 장기적인 발전을 저해하는 요인이 되고 있다.

많은 이들이 에너지와 관련한 부분에서 기술적 혁신을 통해 탄소발생을 줄여나갈 수 있다고 믿는 것과는 대조적인 부분이다. 농산업 분야에서도 혁신적인 기술로 탄소발생을 줄이면서도 농업 생산성을 높여나갈 수 있도록 하는 토대가 마련돼야 한다. 농산업체의 원활한 재투자를 이끌어낼 선순환 구조 마련과 탄소발생을 줄이거나 탄소흡수를 도울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될 수 있도록 하는 민·관·산·학·연의 연계와 지속적인 투자가 필요한 시점이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