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수축산신문=이남종 기자]

 

정부는 올해 들어 농업 연구개발의 핵심 화두로 디지털농업을 들고 있으며 또 다른 접점에 그동안 기술기반이 취약한 노외 디지털농업에 대한 중장기 로드맵 또한 제시하고 있다.

하지만 우리 농업인을 포함한 일반인들은 노지 디지털농업에 대한 관념을 제대로 이해하고 있을까.

노지(露地)작물, 노외(路外)작물의 학문적 개념은 쉽게 밭작물이라는 의미다.

우리나라 전체 농업면적 중 밭농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200039.2%에서 201947.5%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어 밭농사의 중요성은 점점 커지고 있다.

농촌인구는 20004031000명에서 20192245000명으로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으며, 고령화 등으로 인력난이 심각한 상황이다.

2000년 기준 밭작물 농업기계화율은 61.9%, 98.6%인 논농업에 비해 현저히 낮은 실정이다. 밭농사는 경지정리가 미흡해 필지 규모가 작고, 경사지가 많아 기계 적용이 어렵고 지역별 재배양식이 다양해 기계화가 어렵기 때문이다.

따라서 밭작물 농업기계화의 중요성과 현장 요구가 높아짐에 따라 2015년 농림축산식품부에서는 전담조직인 농기자재정책팀, 농촌진흥청에서는 밭농업기계화연구팀을 신설해 밭작물 농업기계 연구개발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하며 많은 성과를 내고 있다.

최근 우리 농업 연구·개발(R&D)은 디지털농업을 지향하고 있다. 정부 조직에서 농업 R&D를 담당하는 농촌진흥청 또한 노지디지털농업 실현을 위해 조직개편, R&D 예산 확보 등 다양한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디지털농업은 토양정보, 작황, 병해충 발생 등을 모니터링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그에 맞는 변량처방을 통해 농업생산성을 향상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논농사의 경우 생력 기계화가 완성돼, 다음 단계인 디지털농업을 구현할 연구·개발이 준비되고 있다. 하지만 아직 갈 길이 먼 밭작물 농업기계도 일률적으로 이 트렌드를 따라가야 할지는 의문이다. 아직 생력화도 이뤄지지 않은 기종은 생력화 연구가 절실하기 때문이다

정부 조직은 그 미션에 맞는 업무를 추진해야 한다.

최근 농촌진흥청은 디지털농업을 위해 농업공학부 조직의 개편을 준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으며 이러한 변화에 밭작물기계화에 대한 소외론이 존재한다는 우려가 일고 있다.

물론 변화된 조직 내에서도 밭작물 농업기계 연구 기능을 포함, 지속적으로 수행할 수는 있다. 하지만 디지털농업에 맞는 R&D가 주가 될 것이고 노외작물인 밭농업기계 연구는 점차 축소될 것이라는 것이다.

하지만 우리나라 농산물에서 차지하는 밭작물의 중요성을 감안할 때 밭작물 농업기계화의 중요성과 이에 따른 전담 조직의 지속성은 유지돼야 한다. 특히 전담 연구조직의 존재는 정부의 밭작물 농업기계화 추진의 의지라 볼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외연을 확대해야 한다는 생각이다.

미래 지향적인 연구조직 개편안에 노지 디지털농업, 즉 밭작물 디지털농업의 존재를 등외시해서는 안된다.

명칭이야 노외 농산물 기계화가 됐건 밭작물 농산물 기계화가 됐건, 우리나라 농업면적의 절반가량을 차지하고 주 식재료로 국민에게 공급되고 있는 밭작물. 이러한 밭작물 농업기계화 연구조직의 상징적인 명칭을 정부조직법안에 포함해 확대·지속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한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