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수축산신문=박유신 기자]

박유신 부국장
박유신 부국장

농작물 수확철을 맞아 한창 일손이 바쁜 시기이지만 농촌에서 인력 구하기가 그야말로 하늘서 별따기.

특히 최근 수확작업이 한창인 마늘·양파는 인력도 구하기 어려울뿐더러 자고 나면 오르는 인건비로 아예 수확을 포기하는 농가도 생기고 있다. 여기에 최근 잦은 비로 땅이 물러져 수확용 농기계도 작동이 어려운터라 평소보다 인력 수요가 더 많은 현실이다. 여기에 사람을 구했더라도 당초 수확기를 넘기다 보니 부패되거나 상품성이 떨어지는 경우도 허다하다.

상황이 악화일로로 치닫다 보니 지난 17일에는 국민과 함께하는 농민의길 소속 농업인 단체 대표들이 청와대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농촌 인력난을 극복할 수 있는 근본 대책 마련을 정부에 촉구하기도 했다.

영천의 한 마늘농가의 하소연이 눈에 밟힌다. 최근 마늘 수확을 위해 용역업체를 통해 15명 가량의 인부를 고용했는데 처음 195000원 가량 했던 인건비가 다음날 14만 원으로 올랐고 그 다음날에는 15만 원을 요구했다고 한다. 비 소식도 있어 제때 수확하지 못하면 부패할 우려가 있어 울며 겨자먹기식으로 임금을 지불했다.

더 황당한 것은 암암리에 용역업체와 외국인 근로자들끼리 소위 일당을 공유하며 인력 빼내기가 심각하다는 사실이다. 외국인 근로자 부족 사태를 틈타 브로커들이 소개비 명목으로 수십만 원의 과도한 중계 수수료를 농가에 요구하는 경우도 있다고 한다.

의성에서 마늘 농사를 짓고 있는 한 농가는 마늘 수확을 위해 인부를 기다리고 있었지만 온다던 인부는 결국 나타나지 않았다. 결국 일손을 다시 구하지도, 천정부지로 오른 인건비 감당도 어려운 그는 동생에게 자신의 마을 밭을 갈아엎어 달라고 말할 수밖에 없었다.

이처럼 농가인구의 감소와 급격한 고령화 등으로 농촌 인력 문제는 어제 오늘 일이 아니게 됐다. 특히 코로나19로 인해 외국인 근로자 확보도 어려워진 상황에서 농업인들이 느끼는 허망함은 더하다.

문제는 농가인구의 고령화율이 2030년에는 59.7%에 이를 것이라는 전망에서 보듯이 농촌인력 부족 문제는 더욱 심화될 것이라는 점이다. 여기에 농업이 규모화 되면서 외국인 근로자 등 외부 인력을 동원하지 않고는 농사를 지을 수 없는 지경에 몰린 상황이다. 특히 마늘, 감자 등과 같은 밭작물 기계화율은 60% 가량에 머물러 어려움이 더하다.

정부가 고용허가제와 계절근로자 제도 등을 통해 농업부문에 외국인 근로자 유입을 유도하고 있지만 농업현장의 인력 부족 문제는 여전하다.

농촌인력 수급 문제가 어제 오늘 일이 아니고 정부가 그동안 각종 농촌인력 수급과 관련된 정책을 마련해 추진하고 있음에도 농업현장 왜 여전할까. 그 근본적인 질문과 답이 필요한 때다. 농업·농촌인력과 관련된 정책 틀과 사고를 근본적으로 재검토할 필요가 있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