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수축산신문=안희경 기자]

공교롭다.

지난 15일 광복절을 앞두고 한우협회에서 두 가지 이야기가 나왔다.

한 가지는 광복 76주년인 올해 우리나라가 쌀 대신 육류가 밥상의 중심이 되는 대전환점을 맞이한다는 것으로 한국과 일본의 1인당 쇠고기 소비량 동향을 비교할 때 2000년 이미 우리가 일본과 비교해 112%로 역전, 지난해 한국은 1인당 13kg의 소고기를 소비했고 일본은 6.5 kg으로 한국이 일본의 2배 수준으로 증가했다는 것이었다. 아울러 한우정책연구소는 일본의 지난해 화우 생산량이 6% 증가했으며 일본 정부가 2018년 약 15만 톤이었던 화우생산량을 203530만 톤으로 배증하는 목표를 걸고 생산기반 강화를 위한 지원을 확충하고 있다고 밝혔다.

다른 한 가지는 정부의 ‘2050 탄소중립 시나리오 초안에서 정부가 축산업 축소를 통해 온실가스를 감축하겠다는 안에 대해 한우협회가 분노하고 있다는 내용이었다.

참으로 공교롭다. 국민 1인당 소고기 소비가 일본의 두 배라는 우리나라는 축산업을 줄이는 것을 탄소 중립정책으로 내세웠고 소고기 소비가 줄어들고 있는 일본은 자국의 소 산업을 보호하기 위한 지원을 확충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 두 가지 이야기는 자연스럽게 배치되면서 향후 우리나라의 한우 정책에 경종을 울린다. 자국 산업을 무조건 보호해야 한다는 것은 아니다. 식량 안보 차원을 떠나서라도 우리나라 한우산업은 분명히’, 그리고 빠르게발전하고 있다. 발전하는 산업에 대한 전폭적인 지원은 고사하고 산업 종사자들의 힘을 빼는 정책은 지양해야 하지 않을까. 축산업의 탄소 배출에 대해서도 기준을 명확히 하는 보다 자세한 자료가 나와야 하는 것은 아닐까.

우리의 식탁을 지키고 있음에도 환경 오염의 주범으로 낙인찍히고 있는 축산업에 대한 보다 과학적이고 객관적인 평가가 필요할 때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