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수축산신문=이남종 기자] 

대통령직속 탄소중립위원회는 지난 18미래생존을 위한 마지막 기회라는 타이틀로 제2차 전체회의를 개최했다. 이번 전체회의에서는 2050 탄소중립 시나리오에 국내 순배출량이 0이 되는 A·B 2개 안과 더불어 2030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2018년 대비 40%로 대폭 상향하는 내용이 제시됐다.

이러한 2050 탄소제로 시나리오를 통해 2018년 기준 전체 68630만 톤CO2eq의 탄소를 0CO2eq화 한다는 것이다. 탄소 배출구분을 보면 에너지전환부문이 2696만 톤CO2eq, 산업 26050만 톤CO2eq, 수송 9810억 톤CO2eq 등이 대부분을 차지한다.

농축수산부문은 2018년기준 2470만 톤CO2eq에서 2050년까지 1540만 톤으로 감축하게 된다.

2018년 기준 전체 탄소배출량 중 농축수산부문은 3.59%에 머물고 있다. 얼마되지 않는 비중에 뭐 이리 호들갑이냐는 시각도 없지 않다.

여기에서 주지할 점은 2050 탄소제로가 실현되면 2050년 전체 탄소배출량 8040만 톤 중 농축수산분야가 차지하는 비중은 19.1%를 차지하게 된다. 2050년 탄소제로 달성시 산업부문 다음으로 두번째로 많은 탄소원을 배출하는 산업으로 남게 된다는 의미다.

다른 탄소배출 부문은 화력발전 전면중단, 도로부문 전기·수소차 등으로의 전면전환, 국내생산수 전량 그린 수소 공급 등에 따라 대부분 탄소제로를 달성하지만 농축수산부문은 특성상 한계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농축수산분야는 탄소제로 추진과 더불어 식량안보 강화, 농어업분야 기후변화 적응과 환경 지속가능성·생산성을 동시에 향상시켜야하는 과제를 안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농축수산분야 탄소제로를 위한 첫발인 우리 농가들의 인식조사 결과는 많은 과제를 남기게 된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이 지난해 총 320개 벼, 경종농가를 설문조사한 결과 국가 계획인 ‘2030 온실가스 감축 로드맵에 대해 들어본 적 있냐는 질문에 라고 응답한 비율은 67%였다. 또한 저탄소농업 정책 중 자발적 감축사업, 인증제도, 외부사업 등에 대한 정책 참여여부에 대해 아니오라고 응답한 비중은 각각 52.8%, 72.0%, 73.5%로 미참가가 높게 나타났다. 향후 저탄소농업 정책의 중요한 요소인 농업인들에게 적극적인 정책홍보 등의 적극 정책이 필요한 상황이다.

한편 탄소중립위원회에서 제시하고 있는 농축수산부문 감축 수단으로 연료전환, 영농법 개선, 가축관리 등을 들 수 있다. 어선과 농기계 연료의 전기·수소화, 고효율 에너지 설비보급, 바이오매스 에너지화를 통한 연료전환과 화학비료 저감, 친환경 농법 시행 확대 등 영농법 개선을 통한 농경지 메탄·아산화질소 발생을 억제 한다는 계획이다. 축산분야는 가축분뇨 자원순환 확대와 저탄소 가축관리 시스템 구축 등을 통해 온실가스를 줄이겠다는 방침이다.

아직까지 뜬 구름 잡는 수준에 머물고 있다.

어찌됐던 국가 단위의 탄소저감 대책과 그 로드맵이 발표되고 그 계획이 순차적으로 추진되고 있다.

이제는 농림축산수산분야 탄소중립의 구체적인 비전과 세밀하고 촘촘한 로드맵을 서둘러 구축, 그 목표치를 상회할 수 있도록 범 농업계가 지혜와 힘을 모아야 하는 시점이다.

식량안보와 다원적 가치를 품고있는 농업·농촌이 2050년 주요 탄소배출원이라는 오명을 벗어나지 못한 채 타 산업의 눈치만 보는 존재로 전락하게 해서는 안된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