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수축산신문=김소연 기자]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가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발생됐다. 

충북 음성군의 메추리 농장과 육용 오리 농장에 이어 전남 나주 육용오리 농장에서도 고병원성 AI 확진 판정이 나와 가금농가들의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AI가 다시 유행하게 되면 계란 가격이 급등할 수 있다. 지난해 11월부터 지난 4월까지 고병원성 AI 발생으로 인한 살처분 마릿수는 2993만4000마리에 달했다. 이 중 산란계는 1674만5000마리가 살처분돼 계란 한 판(30구) 가격이 1만 원대를 웃돌 정도로 폭등했다.

지금은 계란 가격이 안정세를 찾았지만 살처분 피해 복구가 완전히 이뤄지지 않은 상태에서 빚을 내 겨우 입식에 들어간 농가들은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고병원성 AI가 발생하게 되면 다시 회복하기 어려운 처지다. 

가금농가는 살처분 보상금 현실화를 위해 무더위 속에 청와대 앞 분수대에서 1인 릴레이 시위, 정부세종청사 농림축산식품부 앞에서 드러눕기까지 하며 생존권 보장을 위해 투쟁에 나서기까지 했다. 

이에 정부는 과도한 살처분을 막고 농가의 자율 방역을 확대하기 위해 올해부터 질병관리등급제를 산란계부터 시범 적용에 들어갔다. 하지만 현장에서는 AI가 다시 번질 조짐이 보이자 등급을 받은 일부 농가는 자발적으로 살처분을 하겠다고 의사를 밝혔다. 등급을 받은 농가에서 AI가 발생하면 살처분 보상금을 하향 지급하는 등 페널티가 크기 때문이다. 

산란계 농장을 운영하는 한 농장주는 “반복되는 AI로 인해 농가들도 전염병 발생을 막기 위해 할 수 있는 방역은 다 한 상태”라며 “오히려 정부의 지나친 방역으로 농장 경영이 힘들어지고 있다”고 어려움을 호소했다. 

매년 반복되는 고병원성 AI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근본 대책이 필요한 때이다. 정부는 방역의 책임을 농가에 가중시키기 보다 백신 도입 등 근본 대책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AI가 유행할 때마다 살처분만 하는 것이 올바른 대책인지 꼼꼼히 따져봐야 한다. 

또한 전염병에 취약할 수밖에 없는 지금의 밀식 사육 방식을 바꿀 수 있도록 동물복지 지원 정책 강화 등 장기적인 관점에서 접근할 필요가 있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