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매장 위치 놓고 이견, 사업 차질 우려…대금정산조직 설립 '지지부진'
채소1동 1층에 경매장 건설할 경우
중도매인 영업 점포 간 통로 협소로
파렛트 농산물 적재 불가능
서울시공사
효율적·미래 유통환경 변화 대응
현 계획대로 추진하는 게 바람직

[농수축산신문=박현렬 기자]

가락시장에서는 오는 2031년까지 시설현대화사업이 진행된다. 사진은 가락시장 시설현대화사업 전체 조감도.
가락시장에서는 오는 2031년까지 시설현대화사업이 진행된다. 사진은 가락시장 시설현대화사업 전체 조감도.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를 넘나드는 가장 큰 가락동농수산물도매시장의 현안은 가락시장 시설현대화사업이다.

2009년 시작된 시설현대화사업은 여러 번의 설계와 사업 변경으로 인해 이제 겨우 도매권역 1공구에 대한 사업이 추진 중이며, 예상 완공시점은 2031년이다. 도매권역 1공구 사업은 채소2동 건립으로 연면적 5만7067㎡에 대한 공사가 오는 2023년 10월까지 진행된다. 지하 1층, 지상 3층 규모로 사업비는 도매권역 전체 7058억 원의 18%인 1261억 원이 투입된다.

이전 대상은 무·배추 등 11개 품목 356명으로 예정돼 있다. 채소 2동 공사는 지난 2월 15일 계약이 완료돼 2월 22일 착공됐으며 지난 7월까지 건립부지의 기존 건축물 철거공사가 진행됐다. 지열·골조공사는 이달부터 진행 중이다.

오는 2026년까지 진행되는 도매권역 2공구 채소1동과 수산동은 각각 연면적이 8만2351㎡, 6만3976㎡이며 이전 시설은 채소1동이 과채류, 근채류, 엽채류이며 수산동은 선어, 패류, 건어 등이다.

지난해 11월부터 지난 6월까지 운영모델과 물류계획(안)이 수립됐다. 채소1동 배치(안)에 대한 도매시장법인·중도매인 설명회·협의가 지난 9월 말 기준 55회 이뤄졌으며 시장관리운영위원장 주재 협의도 진행했다.

도매법인은 거래구역인 경매장 면적 확대와 배타적인 구역 배정을 요구한 바 있으며 중도매인들은 경매장 2층, 중도매인 점포 1층 배치, 통로 확대, 지하개발 등을 건의했다.

한국농산물중도매인조합연합회 서울지회는 채소2동 1층에 경매장을 계획대로 건설할 경우 중도매인 영업 점포 간 통로 협소로 파렛트 농산물의 적재가 불가능하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이에 경매장을 2층으로 옮기는 것을 검토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반면 서울시공사 측은 효율적인 물류와 미래 유통환경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현 계획대로 추진하는 게 바람직하다는 입장이다.

서울시공사 관계자는 “시장 환경이 변한대로 해도 상장경매가 거래제도의 기본이 되는 것은 바뀔 수 없는 사실”이라며 “1층에 전면적으로 중도매인들만 거래할 수 있는 공간을 배정해고 무리하게 경매장을 2층으로 옮기는 것은 물류나 시장 전반적인 유통을 위해 바람직하지 않다”고 설명했다.

제한된 면적과 사업비로 유통인들의 전체적인 요구사항을 반영하기는 어렵다는 입장도 피력했다.

수산동은 지난 9월까지 도매법인·중도매인 설명회를 54회 개최했으며 수산동 설계추진협의회 등을 통한 최종 의견수렴을 진행하고 있다.

서울시공사가 이달까지 도매권역 2공구 설계추진협의회를 개최하고 배치계획을 확정하겠다는 입장이지만 어려울 것이라는 예상이 대부분이다.

한 업계 전문가는 “한중연 서울지회가 조합장 회의 등을 통해 꺼낸 카드에서 일정 부분 협의가 이뤄지지 않는다면 시설현대화사업 추진이 차질을 빚을 수 있다”며 “전체 중도매인들의 입맛에 맞추기는 어렵겠지만 집행부와의 조율이 필요한데 단기간에 해결할 수 있는 문제는 아니다”고 밝혔다.

또 다른 전문가는 “큰 틀에서 접근해야 한다는 서울시공사의 입장과 시설현대화사업으로 혹시 모를 피해를 볼 수 있는 중도매인들의 의견을 반영해야 한다는 의견이 충돌하고 있는 것”이라며 “시설현대화사업을 어느 한 사람의 피해, 이득으로 접근할 경우 결론을 낼 수 없다”고 설명했다. 

도매시장법인과 중도매인의 경쟁이라는 측면에서 추진되고 있는 가락시장 판매대금정산조직 설립은 서울시공사의 연구용역 후 확정된 사안이 없다.

농림축산식품부가 도매시장 개혁 방안에 대금정산조직 설립과 관련된 내용을 담길 것이라는 시장 내 예측이 나오고 있지만 확정된 사안은 없다.

지난해 서울시공사의 연구용역을 바탕으로 도출된 운영자금은 2200억 원 가량이다.

중도매인이 도매법인에 지불하지 않은 미수금 문제 해결과 중도매인들의 담보 대비 2~5배를 도매법인이 떠안고 있는 문제, 미결제 대불 운영자금에 따른 금액이다.

이 때문에 사실상 대금정산조직 설립이 어렵지 않겠냐는 의견이 지배적이었다. 중도매인들이 설립·운영자금을 거출할 생각이 없어 정부에서 자금을 지원해야 설립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학계 한 전문가는 “도매시장 내 경쟁을 위한 하나의 방안으로 대금정산조직 설립을 검토할 수 있겠지만 전체적인 운영자금까지 정부에서 신경을 써야 하는 상황”이라며 “가락시장정산(주)처럼 농산물 가격안정기금을 무이자 융자로 지원하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서울시공사의 연구용역 후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에서 대금정산조직 설립과 관련된 두 번의 연구용역을 발주한 바 있으며 이외 서울시의회에서도 연구용역을 추진 중이다. <끝>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