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악취개선사업 효과… 주민 66% '악취 줄었다' 응답

[농수축산신문=홍정민 기자]

지역협의체 운영
지역 악취개선 상황 공유
악취개선 공감대 형성

악취저감에 한계가 있는 농가들은
바이오커튼·세정탑 등 시설 여건에 맞는
적정 악취저감시설 설치

전북·경기·충남 등 지자체가 중심으로
지역협의체 등 농가-주민-지자체간
소통채널 활성화

간담회와 현장방문 등 통해
악취문제 해결방안 발굴과 동시에
선제적 대응 추진악취개선효과 체감

액비순환시스템 정상화.

정부는 축사와 가축분뇨처리시설별로 단기·중장기 악취관리계획을 수립, 이행여부를 지속 점검하고 있다. 특히 지역별로 지자체와 지역주민, 경종·축산농가 등으로 지역협의체를 운영해 지역의 악취개선 상황을 공유하고 악취개선 공감대를 형성 중이다. 이를 통해 지역별로 지속적인 악취개선활동 기반을 구축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악취원인에 적합한 악취저감시설과 가축분뇨처리시설 등을 지원하고 있다.

이와 관련해 농림축산식품부, 환경부, 축산환경관리원, 시민단체, 현장전문가 등 30여 명은 지난 24일 축산환경관리원에서 축산악취 집중관리지역 30개소에 대한 추진내용과 악취저감 성과를 공유하는 자리를 마련했다.

전국의 축산악취 집중관리지역 30곳은 최근 어떻게 변화되고 있을까. 집중 살펴본다.

 

# 집중관리지역 올해 30개소로 확대하고 축산악취개선사업과 연계

퇴비사 밀폐.
퇴비사 밀폐.

농식품부는 지난해 축산악취집중관리지역 10개소에 대한 성과를 바탕으로 올해 집중관리지역을 30개소로 확대하고 축산악취개선사업과 연계해 지역단위 축산악취관리를 추진했다.

지자체, 관계기관 등과 협업해 30개 지역내 축산농가와 가축분뇨처리시설 700여 개소에 대해 악취원인을 진단했고, 단기·중장기 악취관리계획을 수립, 집중관리가 필요한 101개소에 대해선 축산환경관리원 등의 전문가 컨설팅을 실시했다.

또한 축산악취개선사업과 연계해 농가의 악취원인에 맞는 악취저감시설인 안개분무, 액비순환시설 등과 가축분뇨처리시설 퇴비사, 액비저장조, 정화처리시설 등을 지원해 성과를 배가했다.

더불어 지역의 악취관리와 소통기구로 지자체, 축산농가, 지역주민, 생산자단체 등이 참여하는 악취개선 지역협의체를 구성해 간담회를 개최하고, 우수 현장방문 등을 통해 지역 여건에 적합한 악취저감방안을 모색하고, 지역 내 축산악취 갈등을 조정했다.

이같은 축산악취 집중관리를 통해 대표적인 악취 물질인 암모니아 농도 등 수치적인 악취감소 이외에도 지역주민이 체감할 수 있는 효과가 나타났다.

전문가 컨설팅을 실시한 농가 77개소의 암모니아를 주기적으로 측정한 결과 지난 4월 대비 10월 암모니아 농도가 16ppm에서 8ppm으로 50% 감소되는 성과가 있었고 축산악취집중관리지역 30개소의 지역 주민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지역주민의 66.3%729명 중 483명이 악취개선을 체감한다고 응답했다.

 

# 지자체 중심 지역내 소통 강화

이날 성과보고회에선 해당 지역의 컨설팅팀이 악취개선활동 사례를 발표하고, 미흡 사항에 대해 전문가들과 논의하는 자리를 마련했는데 주요 개선사례를 살펴보면 악취저감시설 설치와 관련해선 시설투자 없이 축사의 철저한 관리만으로는 악취저감에 한계가 있는 농가들은 바이오커튼, 안개분무시설, 바이오필터, 세정탑 등 시설 여건에 맞는 적정 악취저감시설을 설치해 지역의 악취문제를 해결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 A 농가의 경우 암모니아 수치가 35ppm에서 3ppm으로 91%나 준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악취발생장소인 퇴비사, 액비저장조 등이 개방돼 악취가 지속 확산되는 농가들은 퇴비사, 액비저장조 등 악취발생 장소를 최대한 밀폐화하고, 여건상 공사 등이 불가능한 경우는 단기적으로 지역주민과 협의해 천막·덮개 등을 활용한 외부 노출 최소화를 통해 악취가 개선된 사례들도 많이 나타났는데 이를 통해 B농가의 경우 암모니아 수치가 5ppm에서 1ppm으로 80% 감소했다.

이와 함께 축사 내 가축분뇨 장기적체로 인해 악취가 발생하는 농가들은 가축분뇨를 신속히 수거해 악취를 저감시켰다. 가축분뇨 추가 반입 협의 등 가축분뇨 위탁처리시설과의 수거주기 단축협의를 통해 슬러리 피트 청소주기를 단축했으며, 축사 내 가축분뇨 적체기간을 최소화시켰다. 이를 통해 C농가의 경우 암모니아 수치를 30ppm에서 5ppm으로 83% 감소시켰다.

최근 그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는 지역내 소통 강화와 관련해선 전북, 경기, 충남 등 지자체가 중심이 돼 농가-주민-지자체간 소통채널을 활성화하고, 간담회와 현장방문 등을 통해 악취문제 해결방안을 발굴하는 동시에 선제적 대응을 추진, 악취개선효과를 체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악취저감 시설을 구비하고 축사관리에도 불구하고 악취가 발생하는 경우 전문가 컨설팅을 통해 악취원인을 파악하고 악취저감시설 적정운영 방법, 미생물 살포와 가축분뇨 관리 등에 대한 매뉴얼 보급, 교육을 통해 악취가 상당부분 감소했으며 D농가 경우 암모니아 농도가 12ppm에서 3ppm으로 75% 감소했다.

 

# 개선요구 미이행시 집중 점검 병행돼야

특히 악취측정 정보통신기술(ICT) 장비를 활용해 고농도 암모니아 지속 배출 농가·시설을 선별하고, 취약시간 분석과 현장점검 등을 통해 악취저감시설 운영시간을 확대하는 것은 몰론 고액분리기의 가동시간과 퇴비 교반시간 변경 등 맞춤형 집중관리를 추진해 큰 효과를 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액비 반출의 어려움으로 가축분뇨처리가 지연돼 악취가 발생하는 농가들은 기존의 퇴·액비화 시설 대신 정화처리시설을 설치·운영해 가축분뇨를 신속히 처리하고 악취도 저감된 것으로 나타났다.

최충식 대전충남시민환경연구소장은 지역에서 발생하는 축산악취민원은 축산농가와 주민간의 정서적인 이유가 큰 만큼 지역협의체 활동을 통한 악취개선사례가 인상적이었다면서 일부 악취지역의 농장들은 현장의 지속적인 개선요구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은 경우도 있어 악취가 심하게 발생하는 사례들은 현장의 단속과 집중 점검이 병행돼야 한다고 밝혔다.

정경석 농식품부 축산환경자원과장은 이번 30개 지역 악취개선 성과 보고회를 통해 악취개선 활동과 우수사례를 공유하고, 확산함으로써 축산악취개선에 대한 지역적 붐을 조성해 나갈 계획이라며 앞으로도 축산악취로 인한 국민 불편을 해소하고, 환경친화적 축산업 전환을 위해 축산농가 스스로가 적극 노력해 달라고 당부했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