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수축산신문=농수축산신문]

다사다난했던 한해가 또 저물어가고 있다. 농축수산업계는 올해도 코로나19여파 속에 늘어나는 수입농축수산물과 가축질병등의 악재와 사투를 벌이며 힘든 한해를 보냈다. 

사상 초유의 코로나19 여파는 농축수산업계에도 심각한 타격을 입혔다. 학교급식 중단과 외식업계 불황 등은 농축수산물 소비 감소로 이어졌다. 또 국가간 이동에 차질이 생기면서 외국인 근로자의 국내 유입이 원활하게 이뤄지지 않아 심각한 인력난을 겪어야만 했다.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극성을 부리고 있는 아프리카돼지열병(ASF)과 고병원성 AI(조류인플루엔자)로 축산농가들은 가슴을 쓸어내렸다. 더욱이 AI로 인해 산란계가 대거 살처분되면서 계란 가격이 치솟자 정부가 계란을 전면 수입하면서 농가들의 공분을 사기도 했다.

올해는 이와 함께 갈수록 심화되고 있는 농어촌소멸에 대한 근본적인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여론이 확산됐다. 지역 소멸위기 극복을 위한 특단의 법과 제도 등이 하루 속히 보완돼야할 것이다.

올 초부터 논란이 된 농지투기 사태로 농업인들은 허탈감을 감추지 못했다. 부실한 농지관리로 전국 곳곳의 농지가 투기화되고 이로 인한 피해는 고스란히 농업인들에게 돌아가고 있었던 것이다. 정부는 올해 농지법을 개정하고 농업법인의 농지 추가취득을 제한하는 등 대책 마련에 나섰다.   

농업인들의 원성을 사고 있는 청탁금지법은 농수산물 선물가액을 10만 원에서 20만 원으로 상향조정하는 것으로 마무리됐다. 농축수산업계는 당초 농축수산물을 법 적용에서 제외해 달라고 요청했지만 이는 받아들여지지 않아 아쉬움을 남겼다.   

올해는 또 정부의 ‘2050 탄소중립’선언에 발맞춰 농축수산업계도 화학비료 저감, 가축분뇨 자원순환 확대 등의 정책 추진에 동참하고 있지만 각 단계별 세부 추진 방안이 미흡해 보완대책이 마련돼야 한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수산분야에서는 어선원 안전과 인권문제가 주요 이슈로 부각됐다. 경제사회노동위원회 어선원고용노동환경개선위원회가 합의안을 통해 어선원의 노동환경과 안전, 인권문제 개선에 노·사·정이 함께 노력하기로 했지만 아직 해결해야할 과제는 산적해 있다. 이와 함께 수산보조금 협상 타결여부에 귀추가 주목되는 가운데 국내 대책을 서둘러야 한다는 여론이 일었다.  

이같은 잇따른 악재 속에 농식품 수출이 사상 첫 100억 달러를 돌파, 농축수산물의 새로운 성장 가능성을 엿보기도 했다. 이와 함께 코로나19로 휘청거렸던 화훼 업계에도 ‘치유’와 ‘힐링’ 바람을 타고 소비 진작 ‘훈풍’이 불면서 양재동 화훼공판장이 역대 최고 실적을 달성하는 기염을 토했다. 아울러 농기자재 수출도 3분기 현재 지난해 대비 40.8%나 급증, 올해 12억 달러에 달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농축수산업계가 똘똘뭉쳐 위기 속에 빛을 발한 성과들이라 할 것이다.

올 한해 코로나19와 농축수산업계를 둘러싼 난제들로 힘겹게 달려온 우리 모두를 격려하고, 새로운 희망을 품고 새해를 맞을 준비를 하자.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