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수축산신문=박유신 기자]

 

 

통계청에 따르면 2019년 세종, 제주 등을 포함한 전국 229개 지역 중 150개 지역이 2000년과 비교해 인구가 감소했다. 또한 105개 자치단체는 고령화율 20%를 넘겼으며, 농어촌으로 구분되는 읍·면단위의 60세 이상 비율이 30.2%에 달했다. 특히 수도권을 제외한 지역들은 타 지역으로의 인구 유출 등으로 그 감소세가 더 가파른 것으로 나타났다.

막연하게만 느껴졌던 지역소멸에 대한 위기감이 이제 현실이 됐다. 정부가 2005년 저출산·고령사회기본법 제정을 통해 중장기 대책을 마련해 추진 중이지만 갈수록 지역, 특히 농촌지역의 인구감소를 막기에는 역부족인 듯 싶다.

지역의 인구감소 요인이 저출산이 아니라 지역 간 전입·전출에 의한 인구이동에 기인하는 만큼 저출산·고령화 대책과 분리해 일자리, 교육, 복지, 행정 등 정주여건의 격차 문제 해결에 적극 나서야 한다는 주장이 설득력을 얻고 있는 이유다.

이런 가운데 농업·농촌에 대한 관심이 다시 늘어난 점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 2020년 귀농·귀촌 인구는 494569명으로 전년대비 7.4% 증가했다. 2017516817명으로 최고점을 찍은 이후 감소했던 게 3년 만에 다시 증가한 것이다. 귀농·귀촌 가구수는 357694가구로 귀농·귀촌 통계조사 이래 최대치다.

국내인구 총이동량 증가, 저밀도 농촌생활에 대한 관심 증가, 베이비붐 세대 은퇴 등이 복합적인 요인이 작용된 결과겠지만 코로나19를 계기로 밀집되고 답답한 도시를 벗어나 농촌에서 새로운 삶의 대안을 모색하는 이들이 크게 늘어난 것이 한몫했다.

이 같은 성향은 당분간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이 20191월부터 지난해 11월까지 언론, 블로그, 카페, 커뮤니티, 트위터 등을 통해 귀농·귀촌과 관련한 대국민 관심과 트렌드 변화를 분석한 결과 귀농·귀촌분야 정책 관련 온라인 정보량이 전년대비 15%나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앞서 언급했듯이 저밀도 생활에 대한 관심과 함께 힐링, 건강 등에 대한 관심이 증가한데다 정부나 지자체 역시 이 같은 트렌드 변화를 반영해 다양한 귀농·귀촌 정보와 지원 정책을 만들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특히 주목되는 부분은 귀농·귀촌 지원 정책과 관련해 가장 많이 언급된 지역이 전북 완주군과 충북 괴산군이었다는 점이다.

왜 이들 지역에 대한 정책적 관심이 컸을까. 완주군은 로컬푸드 탐방, 선배 귀농·귀촌인과의 만남 등 현장 위주의 교육과 농촌에서 살아보기프로그램을 운영하며 전국에서도 모범적으로 귀농·귀촌 정책을 실천하는 지자체로 알려져 있다. 괴산군 역시 직거래 쇼핑몰을 직접 운영해 귀농·귀촌인의 농산물 판로를 지원하며 정착을 돕고 있다. 귀농·귀촌을 희망하는 이들로서는 준비·계획 수립부터 정착 이후의 소득, 일자리, 창업까지 다양한 상황으로 고려해 자신에 맞는 지역을 선택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실제 귀농·귀촌 정책과 관련해 언급되는 키워드로 교육·실습에 대한 언급이 21%로 가장 높았으며, ‘정착 지원’(18%), ‘청년’(16%), ‘주거’(16%), '일자리·창업'(8%)등과 관련된 언급이 많았다.

농업·농촌에 사람을 들이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살아갈 만한 혹은 종사할 만한곳이 돼야 한다. 그럼에도 우리 농업·농촌은 그 기대를 충족시키지 못해 왔다. 여전히 농업이나 농촌에서 제대로된 소득이나 생활서비스를 누리기에는 한계가 있다.

새해가 밝았다. 올해도 귀농·귀촌에 대한 관심은 계속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지역소멸, 농촌소멸이라는 위기감이 커지고 있는 지금, 보다 세밀하고 실효성 있는 정책적·제도적 지원책이 마련돼 보다 많은 이들이 농업·농촌에 관심을 갖고 삶터, 일터, 쉼터로서 삶을 이어가길 기대해 본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