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수축산신문=농수축산신문]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정책 추진이 본격화되고 있다.

정부는 지난해 10월 발표된 2050 국가 탄소중립 시나리오에서 농식품 분야는 205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을 20182470만 톤 대비 38% 감축하기로 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이에 따라 지난해 말 구체적 이행방안을 담은 ‘2050 농식품 탄소중립 추진전략을 발표했다.

이번 전략에서 농식품부는 정밀농업, 환경친화적 농업의 확산 등을 통해 저탄소 농업구조로 전환하면서 벼 재배, 가축사육 등 생산과정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를 최대한 감축해 나가고 유통·소비 분야에서도 최대한 감축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또 농업·농촌 분야 에너지를 재생에너지로 전환해 화석연료 사용을 줄이고 재생에너지 공급도 확대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2050년까지 정밀농업 기술을 전체 농가의 60%까지 보급하고, 화학비료 절감을 통한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2019년 현재 5.2%수준인 친환경농업 면적을 205030%까지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또 체계적인 논물 관리를 통해 벼 재배시 발생하는 메탄 배출량을 2018630만톤에서 2050431만톤으로 감축한다는 계획이다. 아울러 저메탄사료 보급을 확대하고, 적정사육밀도 유지 및 사육기간 단축을 통해 사육과정의 온실가스 배출량을 2018447만 톤에서 2050198만톤수준으로 줄이겠다는 목표다. 아울러 가축분뇨 정화처리 비중을 높이고 에너지화 이용 확대 등으로 축산분뇨 처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 배출량을 2018494만 톤에서 2050437만 톤 수준으로 감축한다는 것이다.

갈수록 심해지고 있는 이상기후와 그로 인한 농축수산업계 피해가 심각해지고 있는 만큼 지속가능한 농업을 위해서라도 탄소중립 과제는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과제이다.

하지만 농축수산업계 추진과제는 종사자인 농축수산인들의 적극적인 참여 없이는 달성하기 어려운 게 현실이다. 이에 따라 농축수산인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기 위한 지속적인 홍보와 교육이 선행돼야 할 것이다.

아울러 사업 추진을 위한 적극적인 합의 유도를 위해 각 지역별 거버넌스를 강화해 나가야 할 것이다. 지역 구성원들의 적극적인 참여와 이해 없이는 어떤 사업 추진도 성과를 내기 어렵다는 사실을 주지해야 한다. 이와 함께 저탄소 농업 활성화를 위한 연구, 개발도 서둘러야 할 것이다.

온실가스 감축 과정에서 식량 생산이 줄거나 축산 생산성이 떨어지는 등의 부정적인 영향도 예상되고 있다. 사업 추진 과정에서 식량안보와 수급 안정, 농촌 경관 유지 등을 고려하지 않을 수 없는 상황이다.

탄소중립을 위한 발걸음은 시작됐다. 탄소중립 시대를 맞기 위한 각계의 적극적인 참여와 노력, 합의가 어우러져야 하는 때이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