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수축산신문=농수축산신문]

최근 정부가 물가안정을 이유로 지난해 9월 미국에서 수입한 계란 2125만개가 폐기처분 수순을 밟으면서 비난을 면치 못하고 있다.

정부는 지난해 초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여파로 계란가격이 급등하자 긴급할당관세를 적용, 무관세로 1500억 원의 예산을 투입, 계란 38538만 개를 수입해 유통했다. 수입계란은 운송비, 작업비를 포함하면 한 판당 원가가 평균 12000원대에 달했지만 공매를 통해 판 가격은 3000~4000원에 그쳤다. 이에 따른 총 판매 수익은 고작 476억 원으로 1000억원이 넘는 손실이 발생한 것으로 드러났다. 한 판당 8000~90000원 가량의 손해를 본 셈이다.

손해는 여기서 그치지 않았다. 팔리지 않은 2125만개의 수입 계란은 결국 유통기한 45일이 지나면서 폐기 처분 수순을 밟게 됐다. 이와 관련 한국농수산물유통공사는 지난달 수입계란 폐기 용역 공고를 올렸다. 폐기 비용만 48450만원이다.

양계농가들은 그동안 계란 가격 안정화를 위해서는 계란을 무리하게 수입할 게 아니라 살처분으로 가격이 급등한 병아리 가격을 지원해 농가들이 서둘러 재입식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고 요구했었다. 하지만 이같은 현장의 목소리는 반영되지 않았고, 무리하게 수입한 계란은 물가안정에도 그다지 도움되지 않았다. 농축수산물은 그 특성상 공산품처럼 필요하면 언제든 공장에서 찍어낼 수 있는 상품이 아니다. 원하는 시기에 원하는 물량을 곧바로 수입할 수도 없는 것이다.

정부는 이번 사태로 혈세를 낭비했다는 비난여론을 면치 못하게 됐다.

정부는 이제라도 이같은 사태가 다시는 발생하지 않도록 현장의 목소리를 귀기울어야 할 것이다. 또 농축수산물이 부족하면 언제든 수입하면 그만이라는 발상도 바꿔야 할 것이다. 불가피한 재난으로 인한 이같은 농축수산물 부족사태는 언제든 발생가능하다. 같은 우를 반복해서는 안될 것이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