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수축산신문=홍정민 기자]

제20대 대통령선거에서 승리한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은 오는 5월 10일 취임해 2027년 5월 9일까지 대통령직을 수행한다. 

윤 당선인은 국민의힘 후보 시절부터 디지털 대전환 시대에 국가 차원의 전략을 수립하고 데이터, 인공지능(AI)과 소프트웨어(SW) 산업 등의 육성을 공약하면서 대학과 연구소, 기업이 공동으로 활용 가능한 AI 클라우드 컴퓨팅 인프라를 조성하겠다고 약속했다. 특히 윤 당선인이 안철수 국민의당 대표를 인수위원장으로 하는 대통령직인수위원회를 꾸리면서 벌써부터 현장에선 디지털 대전환을 위한 시장 친화적, 자율적인 정책에 대한 기대가 커지고 있다.

농업도 예외는 아니다. 디지털농업 확산을 위한 심도 있는 정책방향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 업계를 중심으로 이어지고 있다. 현재 국내 농축산업이 직면한 노동력 감소와 기후변화, 시장개방 심화 등 각종 현안을 해결하기 위해선 앞으로 디지털 전환이 중요한 역할을 감당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되고 있기 때문이다. 최근 급성장중인 데이터 산업을 농축산 분야에 도입할 경우 전후방산업은 물론 수출산업으로 육성해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하고 일자리를 창출하는 게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디지털농업 확산을 위한 걸림돌도 만만찮다. 우선 도시에 비해 농촌의 초고속 통신서비스 기반이 부족한 상황이어서 이를 반드시 해결해야 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따르면 5세대 이동통신(5G) 기지국 설치비율은 지난해 8월 기준으로 서울, 경기, 인천 등 수도권은 47.2%인 반면 제주 1.9%, 전남 2.5%, 충남과 충북은 각각 3.1%, 3.2%에 그치고 있다. 이처럼 데이터망이 미비하면 농경지에서 텔레매틱스, 자율주행 기술 적용 등이 어려워 지능형 농기계 보급과 확산은 엄두를 낼 수 없게 된다.

물론 현 정부가 오는 2025년까지 전체 농어촌 마을에 초고속 인터넷망을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설정했지만 윤 당선인은 인수위 단계부터 좀 더 꼼꼼하고 촘촘히 계획을 세워 디지털농업 확산을 위한 시기를 보다 앞당길 필요가 있다.  

농화학기업인 팜한농, 농기계기업인 대동, 그린랩스, 디지털축산 전문기업 유라이크코리아 등의 사례를 놓고 볼 때 국내 디지털농업 시장은 디지털 솔루션 상용화 초기단계로 다양한 사업모델이 추진 중이라고 할 수 있다. 디지털 전환에 있어 데이터, AI 전문기업들과 기존 농산업 기업들이 데이터농업 사업에 도전중이지만 지속적인 성장을 위한 산업 기반은 여전히 부족한 상황이다. 또한 시설농업 못지 않게 소규모 농업인이 대부분인 노지농업에 대한 정책도 고민할 필요가 있다.

여기에 더해 농업 부문 벤처·창업기업에 대한 투자도 보다 강화할 필요가 있다. 농식품 분야 벤처·창업기업에 대한 민간투자 활성화를 위해 농림수산식품모태펀드가 2010년부터 운영중이지만 디지털농업 관련 펀드 비중이 상대적으로 낮다. 벤처투자를 총괄하는 한국모태펀드에도 농업 부문을 육성하는 별도 계정은 없어 특화된 지원이 부족한 상황이다. 

농업 전반의 디지털 전환을 위해 농림축산식품부 내 디지털 전환 전담조직과 법적 근거를 마련하고 관계부처, 지자체, 민간이 참여하는 민관협의체를 구성·운영하는 한편 종합적인 정책도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인수위 단계부터 디지털 대전환, 특히 생명산업 농업의 디지털 전환 방향성 등을 잘 세우길 바란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