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광수 축산환경관리원 부장 

[농수축산신문=농수축산신문]

전 세계적으로 기후변화 위기에 직면해 탄소배출을 줄이고자 하는 움직임이 거세지고 있는 가운데 우리나라도 예외는 아니다.
 

특히 농업분야는 타산업에 비해 온실가스 배출량은 약 3% 수준이지만 초미세먼지의 전구물질인 암모니아 배출, 축산악취에 따른 민원 증가 등의 문제로 더이상 지체할 수만은 없는 상황이다. 1990년 이후 농업분야에서의 온실가스 배출요소 중 가축분뇨가 가장 높은 증가율을 보이고 있다.
 

점차 퇴비·액비를 살포할 수 있는 농경지는 감소하고 토양의 양분수지는 OECD(경제협력개발기구) 국가 중 질소 1위, 인 2위로 퇴비·액비량 감축은 불가피한 상황이다.
 

이에 지역여건을 고려해 퇴비·액비 살포가 곤란한 지역에 대해선 비농업계로의 활용방안을 강구할 필요가 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지속 가능한 축산업 실현과 2030 NDC 온실가스 30% 감축을 위해 가축분뇨의 정화처리, 에너지화, 바이오차 생산 등 비농업계 이용 확대를 통해 온실가스 19%를 감축하고, 저메탄, 저단백질 사료의 개발·보급으로 11%를 감축하고자 하는 목표를 세웠다.
 

비농업계 이용을 위한 가축분 퇴비의 새로운 처리방법으로는 고체연료화, 바이오차, 바이오플라스틱, 수출 등이 있고 이중 국제기후변화협의체(IPCC)에서 탄소고정 효과를 인정한 바이오차에 대한 사업 활성화가 중요한 현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바이오차는 바이오매스(Biomass)와 숯(Charcoal)의 합성어로 바이오매스를 350℃ 이상에서 산소가 없는 조건하에 열분해해 만들어진 소재로 농업분야 탄소중립을 자체적으로 달성시킬 수 있는 현 단계 유일한 기술로 평가받는다. 바이오차는 다공성의 물리적인 특성으로 유해물질 흡착, 통기성 증가 등 토양개량 효과가 있고, 목질계 바이오차와는 달리 유기물 함량이 포함돼 완효성 비료로도 활용이 가능하다. 가로수, 화분 분갈이용, 축사깔짚은 물론 건축자재, 도료, 발전연료 등 다양한 비농업계 활용이 가능해 토양 양분관리와 온실가스 감축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가축분뇨 바이오차 생산공정은 목질계 바이오차와 달리 가축분뇨에 수분이 70~80% 가량 포함돼 있어 건조단계의 전처리가 필요하다. 건조단계에서 수분을 30%로 낮추기 위해선 별도의 에너지원이 필요해 경제성에 대한 일부 우려의 목소리도 있지만 열분해 과정에서 발생되는 가스와 폐열을 활용, 재순환함으로써 에너지비용을 줄일 수 있다. 기존 퇴비화시설과 비교했을 때 적은 소요면적, 짧은 처리기간, 높은 판매단가, 자발적 온실가스 감축 인센티브 등을 감안하면 오히려 경제성이 좋을 것으로 예상된다. 
 

한국농업기술진흥원에서 제시한 자료에 따르면 가축분뇨 바이오차 1톤을 생산할 경우 온실가스 약 2톤 CO2eq을 감축하는 것으로 나타냈다. 이를 근거로 농림축산식품부에서는 2030년까지 가축분 450만톤을 바이오차, 고체연료 등으로 전환할 계획을 밝히고 2021년 9월 농식품부, 축산과학원, 농업과학원, 한국농업기술진흥원, 축산환경관리원, 농협경제지주, 학계, 산업계 등으로 구성된 사업단을 출범했다.
 

우선 올해는 생산기반 조성을 위해 대규모 위탁시설형과 중·소규모 마을형 바이오차 생산 시범사업 추진과 동시에 가축분뇨 바이오차 육성과 지원 제도 도입, 표준 생산공정 체계 마련, 비료공정규격 등록, 자발적 온실가스 감축 방법론 개발 등 제도 정비를 병행하고 있다. 
 

가축분뇨 바이오차 활성화를 위해선 분명 제품의 품질, 안정성 등 검증·효과 분석이 필요한 상황이지만 탄소중립 정책기조와 온실가스 감축, 토양의 양분관리 측면에서 가축분뇨 처리의 패러다임 전환이 필요하며, 그 중심에 바이오차가 있음을 반드시 주목해야 된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