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수축산신문=박유신 기자]

전북 김제에 위치한 스마트팜혁신밸리 청년보육 실습농장을 찾아 스마트팜청년창업교육을 받고 있는 청년들의 생생한 모습을 담아봤다. 한국 미래농업의 큰 꿈은 청년농의 품에서부터 시작된다.  사진=엄익복
전북 김제에 위치한 스마트팜혁신밸리 청년보육 실습농장을 찾아 스마트팜청년창업교육을 받고 있는 청년들의 생생한 모습을 담아봤다. 한국 미래농업의 큰 꿈은 청년농의 품에서부터 시작된다.  사진=엄익복

저성장 기조 장기화와 지역소멸 위기 심화, 기후위기, 글로벌 식량위기, 소득양극화 등 사회가 직면한 현안에 대응해 한국농업이 미래성장산업으로 도약하기 위해서는 전문농업인과 청년농 등 성장동력이 될 ‘사람’ 육성을 위한 체계적인 지원정책과 연계 프로그램 마련 등 지원대책이 대폭 강화돼야 한다는 의견이다.

본지가 창간 41주년을 맞아 지난 12일 본사 회의실에서 개최한 ‘5감(減) 시대에 직면한 한국 농업·농촌 해법은’ 주제의 특별좌담회에서 각계 전문가들은 이같은 의견을 피력했다.

박대조 한국농촌지도자중앙연합회장(한국종합농업단체협의회 공동대표)은 “지난해 농가 중 2인가구 비율이 56.8%이고 65세 이상 고령인구가 46.8%인 상황에 직면해 정작 농업현장에는 일할 사람이 없어 이대로라면 농장을 폐쇄할 수밖에 없는 지경에 처했다”고 우려하며 “농업에 있어 미래성장동력을 도모할 실제 축인 사람이 무너진 상황인 만큼 성장동력을 이끌 인력 육성에 적극 나서야 한다”고 피력했다.

특히 박 회장은 “승계농이 먼저 농업·농촌에 들어와 성공해야 젊은 세대의 유입이 빨라진다”며 “더불어 청년농은 수입이 안정되지 않으면 농업·농촌을 떠날 수밖에 없어 지역 특화작물과 연계해 성공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정부 수매 지원과 같은 안정적인 수입 창출 구조가 만들어져야 한다”고 말했다.

서인호 청년농업인연합회장도 “정부가 청년농업인을 미래 신성장동력으로 삼겠다는데 청년농업인이 없는데 어떻게 육성하겠다는 것인지 의문”이라며 “성장을 동력화할 수 있는 청년농이 없다보니 아무리 좋은 정책이 마련돼도 현장에 적용할 인력이 없는 실정”이라고 지적했다.

더불어 서 회장은 “농업에 진출한 청년들은 수입에 대한 걱정뿐만 아니라 소통할 사람도, 기회도 없는 것을 가장 큰 고민으로 여기고 있다”며 “어울릴 또래나 커뮤니티가 부족해 고립되는 경우가 많으며, 승계농의 경우 변화를 두려워하는 부모세대와의 갈등이 큰 걸림돌이 되고 있다”고 어려움을 전했다.

이 같은 의견에 한두봉 고려대 식품자원경제학과 교수는 “미래 농업을 이끌 혁신 청년농을 적극 육성하고 청년농이 연착륙할 수 있도록 베이비부머 세대들과 청년농의 상생협력 프로그램을 구축해야 농촌이 살아나고 농업이 미래성장산업이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김동환 안양대 글로벌경영학과 교수도 “그간 청년농 육성 정책을 보면 수치만 제시했을 뿐 역할에 대한 고민이 부족했던 만큼 청년농업인 육성을 위한 핵심 세력을 어떻게 구축해 나갈 것인가가 관건이 될 것”이라며 “더불어 청년농이 안착하기 위해서는 기존 농업인들이 멘토가 되고 농지까지 이어받을 수 있도록 하는 구조와 생태계가 갖춰져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이날 좌담회에서는 새로 출범한 윤석열 정부의 농업·농촌 정책방식과 관련한 주문도 이어졌다.

김동환 교수는 “현재와 같은 중앙중심적 농촌개발정책을 지양하고 기본적으로 주민이 주체가 돼 지역을 개발할 수 있는 정책 체계 개발이 필요하다”며 “중앙정부와 지자체 간 협업 채널을 구축해 정책 실효성을 높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대조 회장은 “생산 중심의 농정에서 벗어나 농촌이라는 공간을 중심으로 한 변화가 요구된다”며 “농업·농촌을 단순히 농산물을 생산하는 산업이자 공간이 아니라 유통과 소비까지 아울러 고려해야 하는 대상으로 여겨야 한다”고 말했다.

한두봉 교수는 “농업을 둘러싼 복합적인 위기는 농업·농촌 구성원에 따라 미치는 영향과 강도가 달라 과거처럼 일률적인 정책보다는 대상별 맞춤형 농업정책과 다양한 정책 조합이 필요하다”고 전했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