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개월치 재고물량 확보
업계 가격인상 단행 없어

[농수축산신문=박유신 기자]

전한영 농식품부 식품산업정책관이 18일 식용유 수급상황 점검회의 결과를 발표하고 있다.
전한영 농식품부 식품산업정책관이 18일 식용유 수급상황 점검회의 결과를 발표하고 있다.

 

지난달 28일 인도네시아 수출제한 조치로 최근 일부에서 식용유 사재기 현상이 발생하고 있지만 재고물량이 충분해 수급에는 문제가 없을 전망이다. 이에 업계 역시 식용류 공급가격 인상도 단행치 않겠다는 입장이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 18일 한국식품산업협회 회의실에서 권재한 식품산업정책실장 주재로 식용유 수급상황 점검회의를 개최했다.

이날 회의에는 씨제이(CJ)제일제당, 롯데푸드, 사조대림, 농심, 오뚜기 등 주요 식용유 공급사 5개 업체와 식품산업협회가 참석, 업체별 유종별 식용유 국내 공급 상황을 점검하고 식용유 시장 안정화 방안을 논의했다.

국내 식용유 연간 소요량은 대두유 60여만 톤, 팜유 20여만 톤 등 약 114만 톤 수준으로 이중 대두유 20만 톤, 옥수수유 4만 톤 등 24만 톤은 국내에서 생산하고 나머지 90만 톤은 주로 수입 후 정제 과정을 거쳐 공급하고 있다.

이날 회의에 참석한 업계 관계자들에 따르면 국내 공급사들은 운송 중인 물량을 포함해 2~4개월 가량의 재고를 안정적으로 보유하고 있는 상황으로 알려졌다. 업소용·가정용으로 사용량이 가장 많은 대두유의 경우 미국·아르헨티나 등 주요 수출국으로부터 차질없이 도입(연간 약 40만 톤)되고 있으며, 국내 생산(연간 약 20만 톤)을 위한 원재료인 대두 도입도 원활히 추진되고 있어 수급에는 문제가 없다는 입장이다.

팜유 역시 지난달 28일부터 이어진 인도네시아 수출제한에도 불구하고 국내 식품업계의 경우 주로 말레이시아산을 사용해 수급에 차질이 없는 상황이며, 기존 재고 이외에 5~6월에도 평년 수준 사용량인 33000톤을 도입 중이고 하반기 이후 물량도 계약된 대로 정상 도입 예정이라고 전했다.

이밖에 가정용과 치킨 가맹점 등에 주로 사용되는 카놀라유, 올리브유 등의 수입도 일정대로 이뤄지고 있으며, 해바라기씨유의 경우 러시아·우크라이나 사태 이후 스페인, 아르헨티나 등 대체 공급선을 확보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수요처별로는 라면, 제과, 제빵 등 식품공장용 물량이나 가정용 소포장 물량(1리터 이하)은 예년에 비해 수요업체 발주량에 큰 차이가 없으나, 유통대리점을 통해 공급되는 업소용 캔식용유(18리터), 가정용 대용량(1.8리터) 주문량이 최근 크게 늘어났다. 이에 대해 업계 관계자들은 러시아·우크라이나 사태와 인도네시아 팜유 수출제한 등의 영향으로 식용유 가격 상승을 우려한 가수요가 일부 유통망에서 발생했기 때문으로 분석했다.

따라서 일부 가수요만 진정된다면 우려하는 소비자들의 식용유 구입에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은 낮으며, 현재 시점에서 식용유 공급가격 인상 계획은 없다는 점을 밝혔다. 이미 가격 상승 요인으로 지난해 초와 7, 그리로 올해 초에 일부 업체에서 가격인상이 단행됐기 때문이다.

권재한 농식품부 식품산업정책실장은 식용유 공급 문제는 치킨집, 중국음식점, 전집 등 중소외식업체, 소상공인의 생계 안정과 직결되는 만큼 정부와 기업이 적극 협력해 식용유 수급상황을 면밀히 점검하고 가격 불안 심리로 인해 필요 이상 미리 구매하는 상황을 완화할 수 있도록 함께 노력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그 일환으로 농식품부는 민·관 수급 점검을 주 1회 이상 정례화하고 중간 유통상 등의 유통 교란 행위가 나타날 가능성에 대비해 각 기업 차원에서 발주 상황 등을 적극 점검하고 기업과 협력관계를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더불어 식용유 국제가격 상승에 따른 업계 부담을 완화할 수 있도록 식용유 수입 관련 품목의 할당관세 등 지원 방안을 적극 발굴·추진하기로 했다.

이에 대해 전한영 농식품부 식품산업정책관은 대두유, 해바라기씨유는 관세 5%가 적용중이데 이에 대한 할당관세 지원을 요청했으며, 정부가 마련 중인 물가안정대책에 포함시킬 예정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