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현석  한국농업기술진흥원 디지털농업확산팀장

[농수축산신문=농수축산신문]

최근 우리 농업의 생산성 향상과 환경보호 관련 기술의 수요가 커지며, 다양한 미래지향적 첨단기술이 선보여지고 있다. 대표적인 것이 스마트 농업기술이다. 농업인, 산업체, 대학, 연구소, 지자체, 정부 등 관련 기관에서는 스마트농업 기술의 개발과 현장 보급을 위해 큰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그중에서도 한국농업기술진흥원은 기술과 농업인·농산업체를 연결해주며 스마트팜, 정보통신기술(ICT)기자재의 사용 가치를 높여주는 중개 기관으로 자리 잡았다.
 

스마트 농업기술의 현장 확산을 위해서는 두 가지 요소가 필요하다. 첫 번째는 스마트농업의 표준화다. 그동안 스마트팜 기자재에는 공인된 표준이 없었다. 농업현장의 사례를 살펴보자. A농가는 B업체 스마트팜 제품으로 시설을 구축했다. 그런데 B업체가 경영난으로 부도가 나자, A농가는 더 이상 B업체 제품의 유지보수를 받을 수 없게 됐다. A농가는 대체할 제품을 찾았지만, 산업체마다 각기 다른 제품표준을 사용하다보니 부품교체를 할 수 없었다. 결국 A농가는 울며 겨자 먹기로 시설 전체를 C업체 제품으로 변경해야 했다. 이처럼 현장에서 대규모 시설이 이미 구축되었더라도 작은 부품 하나가 고장 난 경우, 사후관리와 기업별 제품의 호환이 불가하다. 구축한 시설 전체를 개보수해 비용적인 어려움을 호소하는 농가가 많아지고 있다. 
 

두 번째는 현장 실증이다. 많은 기업이 스마트팜 ICT기자재 등 새로운 제품을 개발하고 있다. 제품 개선사항을 찾으려면 농업 현장에 적용해 테스트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하지만 제조업체 입장에서는 직접 농사지을 여력은 없고 임대 농가를 섭외하기에도 비용이 많이 든다. 스마트팜 ICT기자재는 작물, 외부 환경 등 분야가 다양해 같은 제품이라도 각기 다른 농업 현장에서 어떻게 적용될지 객관적 판단이 어렵다. 신제품 테스트에는 많은 시간과 인력이 필요해 기업 간 기술격차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한국농업기술진흥원에서는 스마트농업 표준화와 현장 실증에 대한 문제해결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최근 농촌진흥청으로부터 표준개발협력기관(COSD)으로 지정돼 스마트농업의 표준화 권한을 위임받았다. 이에 따라 표준개발 및 표준 제·개정 창구가 일원화돼 농업의 현장에 신속한 사업 추진이 가능하게 됐다. 또 올해 3월부터는 지난해 개소한 김제ㆍ상주 스마트팜 혁신밸리 실증단지 위탁운영에 본격 돌입했다. 실증단지에서는 스마트팜 기술 성장을 위한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정확한 현장검증으로 스마트팜 기술과 기자재, 작물 생육 등에 대한 신뢰성 향상을 지원한다. 
 

스마트농업은 농촌의 인구감소, 농업인구 고령화를 해소할 수 있는 기술이다. 우리나라가 안고 있는 여러 가지 농촌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해결책 중 하나인 것은 분명하다. 국내 제품의 기술고도화 기반을 조성해 우리 농업기술이 글로벌 농업기술로 만들어가는 것이 중요하다. 앞서 제시한 표준화, 현장 실증을 통해 농업이 우리의 안전한 미래 먹거리를 생산하는 지속 가능한 산업으로 발전했으면 한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