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수축산신문=이한태 기자]

 

2차 시장격리가 이뤄졌지만 여전히 산지 쌀값은 넘치는 재고와 소비 부진으로 반등의 기미가 보이지 않고 있다.

지난 5일 산지 쌀값은 80kg 기준 183000원으로 지난해 동기 224000원 보다 18.3%나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원인은 누가 뭐래도 공급과잉과 소비 감소다. 다만 공급과잉과 관련해서는 농업인들도 할 말이 많다. 지난해 수확기에 풍년으로 인한 공급과잉 우려가 컸음에도 불구하고 정부가 시장격리를 미루고 미루다 올해에야 시장격리를 했기 때문이다. 이마저도 역공매 방식으로 진행돼 1차 시장격리에서는 많은 농업인의 외면을 받았다. 이후 쌀값은 무섭게 곤두박질쳤고, 2차 시장격리에는 손절(?)’하는 심경으로 참여할 수밖에 없었다고 성토했다. 정부에서 시장격리에 대한 신호조차 주지 않으며 가격 하락을 조장했다는 말까지 나오게 된 배경이다.

2차 시장격리까지 진행했지만 현장에는 지난달 기준 전국 농협 창고에 76만 톤이 쌓여있는 등 쌀이 넘쳐나는 것으로 전해진다. 이는 지난해 동기 43만 톤 대비 77.7%나 많은 양으로 여전히 수요 대비 약 15만 톤이 공급과잉 상태로 추정된다. 이렇다 보니 올 수확기에 수매대란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높다. 가격은 곤두박질 쳤고, 안 그래도 지난해 수확기에 높은 가격에 수매해 보관료 등 재고 부담을 고스란히 안아야 했던 농협이 농가 우선 매입 원칙으로 1·2차 시장격리에서 사실상 재고를 덜어내지 못해 더 이상은 재고를 감당하기 어려운 지경이라는 성토가 나오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쌀 소비마저 매년 감소세여서 쌀 시장에 대한 근본적 해결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오는 것이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국민 1인당 연간 쌀 소비량은 전년 대비 1.4% 감소한 56.9kg으로 집계됐다. 이를 하루 섭취량으로 환산하면 고작 155.8g으로 시중에서 일반적으로 판매되는 즉석밥(210g) 한 개 양도 되지 않는 지경에 이른 것이다.

이에 최근 국회에서도 3차 쌀 시장격리를 비롯한 현안 해소에서 한발 더 나아가 반복되는 쌀의 구조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근본 대책을 촉구하는 목소리가 터져나오고 있으며, 쌀 소비 확대와 관련한 특단의 대책을 주문하는 농업계 전문가들의 제언이 늘고 있다.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국제 밀 가격이 폭등하면서 식량 자급의 중요성이 크게 강조되고 있다. ‘농업은 생산 기반이 한번 붕괴되면 다시 복구하기가 어렵다는 점을 잊지 말고, 주식인 쌀의 중요성과 가치, 농업인의 수고에 대해 다시 한번 생각해봤으면 한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