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자리·주거안정 찾아 신중한 귀농 늘어
안정적 정책 지원 확대

농촌에 대한 인식 변화와
영농정착지원사업 성과로
30대 이하 귀농인구 증가

[농수축산신문=박유신 기자]

2017516817명으로 역대 최대치를 찍었던 귀농·귀촌 인구가 이후 감소세를 보이다 2020년부터 다시 늘기 시작해 지난해에는 2017년 수준에 근접한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이 지난달 23일 발표한 ‘2021년 귀농어·귀촌인 통계 조사결과에 따르면 귀농·귀촌 인구는 전년 대비 4.2% 증가한 515434명으로, 2020년에 이어 2년 연속 증가했다.

귀농·귀촌 가구 역시 377744가구로 전년 대비 5.6% 증가해 통계조사 이래 최대치를 기록했다. 하지만 평균 가구원수는 귀농은 1.38, 귀촌은 1.36명으로 전년보다 각각 0.02명 감소했다.

이 같은 결과에 농림축산식품부는 코로나19 장기화로 인한 사회·경제적 여파와 농촌에 대한 관심 증가, 도시주택 가격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했기 때문으로 분석했다.

이번 통계 조사에서 나타난 귀농·귀촌의 주요 특징을 살펴봤다.

지난해 코로나19 장기화와 농촌에 대한 관심 증가, 도시주택 가격 등으로 30대 이하와 60대의 귀농이 큰 폭으로 증가했다.
지난해 코로나19 장기화와 농촌에 대한 관심 증가, 도시주택 가격 등으로 30대 이하와 60대의 귀농이 큰 폭으로 증가했다.

 

# 30대 이하·60대 귀농 큰 폭 증가

지난해 귀농인구와 귀농가구는 19776, 14347가구로 전년대비 각각 2329, 1858가구가 늘었다.

주목되는 부분은 30대 이하와 60대를 주축으로 귀농이 증가했다는 점이다. 지난해 30대 이하 귀농인은 1522명으로 전년보다 152, 가구수는 5160가구로 1100가구가 증가했다. 60대 이상 귀농인도 6260명으로 전년보다 1282명이 늘었다.

이에 대해 농식품부는 청년들의 농촌에 대한 인식 변화와 함께 영농정착지원사업의 정책 성과 등이 반영된 것으로 보이며, 60대의 귀농 증가는 1955~1963년생 도시 거주 베이비붐 세대의 본격 은퇴가 영향을 준 것으로 추정했다.

 

# ‘신중한 귀농경향 지속적으로 늘어

1인 가구 비중 증가와 귀농 초기 무리한 투자보다는 적정규모로 영농을 시작하고 겸업을 선택하는 신중한 귀농경향 역시 지속적으로 늘어난 점도 주목된다.

지난해 1인 귀농가구 비중은 74.5%로 전년보다 0.4%포인트 증가했으며 귀농가구당 작물 재배면적은 3206로 전년 3306보다 100감소한 가운데 겸업농은 전년 31.4%에서 지난해 32.1%로 늘었다.

이와 관련 귀농인이 많은 상위 5개 시·군은 의성(229), 고흥(224), 상주(212), 영천(182), 양평·무안·김천(173) 순으로 나타났다. 이들 지역으로 귀농한 이들의 주요 특징을 살펴보면 귀농 이전에 인근 대도시나 동일권역에서 생활했으며, 비교적 농지가격 등이 저렴해 영농기반 마련이 용이하고 지자체의 정책 지원도 활발한 곳을 택한 것으로 나타났다.

 

# 일자리·주거 확보 위해 귀촌 선택 증가세 지속

지난해 귀촌인은 495658, 귀촌가구는 363397가구로 전년보다 각각 3.9%, 5.3% 증가했다. 귀촌가구주가 남자인 경우가 60.8%였으며 1인 귀촌가구 비중은 72.6%에 달했다.

주목되는 부분은 전년에 이어 일자리나 주거 확보를 위해 귀촌을 선택한 이들이 많았다는 점이다. 귀촌가구의 전입사유를 묻는 질문에 직업34.3%로 가장 많았고 주택’ 27.1%, ‘가족’ 22.2%, ‘자연환경’ 4.9% 순으로 나타났다.

20대와 30대는 직업을 1순위로, 40대 이상은 주택을 1순위로 꼽은 점을 볼 때 젊은 층일수록 일자리를 구하기 위해 귀촌을 선택하는 성향과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일자리보다는 주택을 고려하는 성향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 귀농·귀촌인의 안정적인 정착 위한 정책 지원 확대키로

농식품부는 이 같은 귀농·귀촌 성향을 고려해 농업·농촌의 일자리 경험, 모의 실행 체험 등 귀농·귀촌 준비 지원을 확대할 방침이다. 그 일환으로 농촌에서 살아보기프로그램을 지난해 88개 시·104개 마을에서 올해 95개 시·119개 마을로 늘리고 농업 일자리 탐색형 교육규모도 6200명으로 지난해보다 100명 늘리기로 했다.

더불어 영농정착지원금 지원 규모를지난해 1800명에서 올해 2000명으로 늘리고 청년농의 준비·창업·성장 전 과정을 지원하는 1(2023~2027) 청년농 육성 기본계획을 하반기에 수립할 예정이다.

이밖에 귀농·귀촌 통합플랫폼도 구축해 올해 시범서비스를 거쳐 내년부터 본격 운영하고 농촌공간계획제도 도입과 농촌재생프로젝트 지원 대상을 추가로 21개 선정·지원하기로 했다.

정현출 농식품부 농업정책국장은 최근 농업·농촌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는 만큼 귀농·귀촌을 희망하는 이들이 체계적으로 준비해 안정적으로 정착할 수 있도록 정책적으로 적극 뒷받침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