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수축산신문=이남종 기자]

 

1960년대 까지 우리나라 농작업은 주로 축력과 인력으로 이뤄졌으며 답작 위주의 영세한 소농형태로 주곡인 쌀의 생산량이 절대적으로 부족한 농업국가였다. 경제개발계획이 본격적으로 추진된 1970년대에 정부는 주곡의 자급달성을 위한 식량증산을 국가의 우선과제로, 정부 주도의 농업기계화사업이 1972년도부터 본격적으로 추진됐다.

당시 우리나라 1인당 국민소득은 300달러 수준으로 농가 인구비율은 44%, 농가당 경지면적 1ha 이하의 가족 소농형태에 머물렀다. 이후 정부의 강력한 의지로 농업기계화사업이 적극 추진되면서 30여 년만에 주곡인 벼농사의 기계화율이 거의 100%에 달하는 등 우리 농업·농촌의 발전과 국가 전체 경제발전의 발판이 됐다.

이와 같이 농업·농촌의 발전과 국가발전의 초석이 된 농업기계화와 그 궤를 같이한 조직이 있다. 올해로 60주년을 맞은 한국농기계공업협동조합.

1961년도 중소기업협동조합법이 공포됨에 따라 우량 농기계 생산과 농촌부흥을명목으로 196232450개 업체가 한국농기구공업협동조합창립총회를 개최하고 그해 424일 상공부로부터 공식 인가를 받게 된다.

1960년도에는 대부분의 기계공장이 낫이나 괭이, 쟁기, 써래 등 재래 농기구나 탈곡기, 발동기, 양수기, 동력경운기 등 소형농기계를 생산하는 수준으로 농기구조합의 역할도 그다지 크지는 않았다.

하지만 1972년부터 정부가 농업기계화사업을 적극 추진하면서 그동안 농협 등을 통해 공급되던 농기계를 정부가 생산업체를 통해 유통하도록 공급체계를 개선, 농기구조합이 농기계의 생산에서 유통, 사후봉사 등에 관한 사무를 수행하게 된다.

농기계의 생산에서 유통, 사후봉사 등의 농업기계화 기반을 정부가 정책지원으로 만들어가면서 한국농기계공업협동조합(1996년 명칭 변경, 이하 농기계조합)은 정부의 사업추진 파트너로서 농기계 국산화에도 앞서게 된다.

또한 농기계를 사용하는 농가 보호를 위한 시·군 단위 농기계 사후봉사업소 설치와 전국순회 농기계 사후봉사 등 정부가 추진하는 업무를 대행하면서 농업기계화의 중심축으로 자리매김해오고 있다.

최근 농기계산업은 연간 2조 원이상의 매출액을 달성하고 있으며, 농기계산업의 고도화에 따라 수출도 크게 늘어 지난해 기준 농기계 수출액이 14억 달러를 넘어섰다.

농기계조합은 이러한 사업추진 등으로 내실은 물론 외연의 확장도 괄목할 만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현재 농기계조합 조합원사는 창립당시 50개사에서 643개사로 크게 늘었으며 출좌수는 77좌에서 7526좌로 97배 넘게 성장했다.

이러한 우리나라 농업기계화를 이끌어온 농기계조합 60년의 성상을 높이 칭송한다.

하지만 아직까지 우리나라 농업생산능력을 보면 곡물자급률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최하위이며 농촌노동력의 지속적인 감소와 고령화, 부녀화 등으로 생산성 향상과 경쟁력 제고가 시급한 상황이다. 따라서 지속가능한 농업을 위해 농기계산업도 정보통신기술(ICT),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 등 제4차 산업혁명 기술의 융복합을 통해 스마트농업의 기반으로 가야하는 지향점에 서 있다.

국가존치 차원에서 식량안보의 중요성은 갈수록 커지고 있다. 지속가능한 농업의 해법은 농업기술의 선진화에 있다. 그 중에는 산···정 공동의 노력을 통해 농업기계화를 이끌어온 농기계조합의 지속적인 노력과 더불어 미래를 이끌어 갈 혁신이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한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