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수축산신문=박유신 기자]

농업·농촌과 식품산업이 국가 기간 산업이자 미래성장산업으로 발전하고 활기찬 농촌으로 변화할 수 있도록 총력을 다하겠습니다.”

지난 511일 윤석열 정부 초대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으로 취임한 정황근 장관이 당시 취임식에서 밝힌 발언이다. 이후 정 장관은 지난 18일자로 취임 100일 맞았다.

정 장관은 새 정부의 첫 농정 수장으로서 임명 전후부터 쏟아진 관심과 기대에 부응하듯 연일 강행군의 연속이었다. 특히 취임과 동시에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로 인한 국제 식량 공급망 불안, 원자재 가격 상승, 여기에 연일 최고치를 기록하고 있는 물가 상승 등 대내외적 여건의 불안 속에서 농축산식품 현장을 발로 뛰며 농업인들과의 진정성 있는 소통을 통한 대책 마련에 분주한 나날을 보냈다.

정 장관의 지난 100일 동안의 대표적인 행보를 뒤돌아 보면 지난 531일 아프리카돼지열병(ASF) 방역 현장 긴급점검, 68일 분질미 활용 쌀 가공산업 활성화 대책 발표, 614일 농식품부·농협·SK석유화학과 환경친화적 축산업 모델 구축을 위한 업무협약, 지난달 1일 민생물가안정 현장 점검, 지난달 13일 강원 여름배추 수급 점검, 지난달 20일 스마트팜 운영 청년농업인 간담회, 지난 16일 여름철 수해현장 점검 등을 꼽을 수 있다.

이 모든 행보는 정 장관이 지난 10일 대통령 업무보고를 통해 밝힌 농식품 물가안정 식량주권 확보 농업의 미래성장산업화 쾌적하고 매력적인 농촌 조성 반려동물 생명 보장과 동물보호 문화 확산이라는 새 정부 농정의 5대 핵심과제와 맞닿아 있다.

5대 핵심과제가 그다지 새로울 게 없는 역대 정부에서도 제시해던 비슷한 농정과제로 보일 수 있다. 그럼에도 한편으로는 역대 정권이 제대로된 해법을 찾지 못해 왔던 농업·농촌이 직면한 고질적이면서 시급한 해결이 필요한 과제를 이번에는 제대로 챙기겠다는 의지를 표명한 점, 그리고 식량주권 등 몇몇 과제에 대해선 짧은 기간 정책적 대안을 내놓은 점은 의미가 크다고 본다.

정 장관의 취임 100일을 톺아보면 아직은 정 장관의 농정은 몇 점(?)이라 미리부터 평가·속단하기는 이르지만 아쉬움은 분명히 있다. 새 정부 출범과 동시에 1998년 외환 위기 이후 최고라는 물가 폭등을 잡는 게 최우선 과제가 되다 보니 농식품부나 정 장관도 대부분의 역량을 물가안정에 둘 수 밖에 없었다는 점이다. 오히려 농축산물이 물가폭등의 원흉처럼 비쳐지면서 가뜩이나 쌀값 폭락과 농축산물 할당관세 적용 등에 불만의 목소리가 높아진 농축산인들과의 갈등은 앞으로 이들 농정과제를 추진함에 있어 정 장관의 운신의 폭을 제한할 여지가 크다.

정 장관의 농정 행보는 이제 시작이고 당장 올해 처리해야할 과제가 산적해 있다. 다음달 청년농업인 육성 종합계획 수립을 시작으로 스마트농업 혁신 방안, 푸드테크 육성방안 등 농업의 미래성장산업화와 관련한 각종 대책들을 수립해야 하고 공익직불제 사각지대 해소와 선택직불제 확대·개편을 골자로 한 농업직불 확대·개편 로드맵도 12월까지 마련해야 한다. 농촌개발과 관련 농촌공간계획 제도 도입과 안착을 위한 법적 근거를 만들기 위해 연내 농촌공간 재구조화 및 재생 지원에 관한 법률제정도 추진해야 한다. 환경친화적 축산업으로의 전환을 위한 각종 사업도 추진해야 하고 낙농업계와 갈등을 빚고 있는 낙농제도 개편 작업도 이뤄져야 한다. 특히 새 정부 농정 평가의 분수령이 될 수확기 도래에 따른 쌀 가격·수급안정 대책과 함께 쌀산업의 구조적 공급과잉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준비 작업도 시급히 이뤄져야 한다.

정 장관을 비롯한 농식품부 관계자들은 더 큰 책임감을 마음속에 되새기고 농가 경영 안정과 국민 먹거리 안정 등 당면현안에 대한 대응은 물론 앞서 언급한 중장기 농정과제 추진에 최선을 다해 주길 바란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