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수축산신문=김소연 기자]

1년이 넘도록 갈등을 빚던 낙농제도 개편이 봉합 수순을 밟을 것으로 보인다.

낙농가 소득 감소를 우려해 정부안을 반대해 오던 한국낙농육우협회가 지난 2일 김인중 농림축산식품부 차관 주재로 열린 낙농제도 개편 간담회를 통해 큰 틀에서 제도 개편에 동의한다는 뜻을 내비쳤다.

정부, 생산자, 수요자 등 이해당사자 간에서는 큰 틀에서 낙농제도 개편에 대한 합의가 이뤄졌지만 올해 원유 기본가격 협상이 지연되고 있어 아직 과제는 남아있다.

유업체를 대표하는 한국유가공협회 측은 현행 생산비 연동제를 즉각 폐기하는 조건으로 정부안을 받아들인 만큼 생산비 연동제로 올해 가격을 협상하는 건 받아들일 수 없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이 때문에 언제 다시 갈등이 점화될지는 알 수 없는 상황이다.

이런 상황 속에 낙농가들의 어려움은 계속되고 있다. 터무니없이 폭등한 사료가격으로 인해 경영이 날로 악화돼 생산기반이 붕괴 직전에 놓였기 때문이다.

경기도에서 30여 년간 목장을 운영하고 있는 한 낙농가는 지난해 초부터 지난달까지 사료가격이 5차례나 올라 젖소 한 마리당 사육비가 지난해 14000원에서 현재는 21000원까지 올랐다며 어려움을 호소했다.

생산비 상승으로 목장을 운영하려는 의지가 줄어 젖소 송아지 가격도 마리당 1만 원으로 떨어졌지만 이마저도 가져가겠다는 사람이 없을 정도다.

코로나19로 인해 외국인 근로자 입국도 지연되고 있어 인력난과 함께 인건비도 크게 올랐다. 또 다른 낙농가는 유대값만으로는 인건비를 줄 돈이 없어 노후 자금으로 저축해 둔 돈으로 인건비를 지급하고 있다며 착잡한 심경을 드러냈다.

낙농은 다른 축산업과 달리 초기 투자 비용이 많이 수반돼 한번 산업이 무너지면 회복하기 어렵다. 또한 우유는 쌀보다 많이 먹는 식품으로 국민 식생활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지난해 1인당 쌀 소비량이 쌀은 56.9kg인 반면인 1인당 우유 소비량은 86.1kg으로 쌀보다 30kg가량 많이 섭취하고 있다.

정부는 낙농산업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낙농가들의 어려움을 헤아려 원유가격 인상이나 사료가격 지원대책을 통한 생산비 보전 등 낙농 생산기반이 무너지지 않도록 정책적으로 풀어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