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수축산신문=농수축산신문]

농업인력 감소와 기후변화 위기 등이 가속화되면서 농업과 첨단기술이 융합된 스마트팜에 대한 수요가 많아지고 있다.

스마트팜은 정보통신기술(ICT)을 온실이나 축사 등에 접목해 스마트폰이나 PC를 통해 원격 또는 자동으로 작물과 가축의 생육환경을 관리하는 농장을 일컫는다.

작물의 생육정보나 환경정보에 대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최적의 생육환경을 조성할 수 있으며 노동력과 에너지, 양분 등도 기존보다 덜 투입하고도 생산성과 품질을 높일 수 있다.  

최근들어 ICT 등에 익숙한 청년 농업인들의 참여와 관심이 높아지면서 농업의 혁신성장을 견인할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실제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시설원예 스마트팜은 2014년 누적면적 40ha에서 2020년 5985ha로, 스마트축사도 2014년 23호에서 2020년 3463호로 크게 늘어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하지만 스마트팜 기자재와 관련 아직 표준화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으면서 사업 활성화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 업체에 따라 기자재 규격이 제각각이다보니 자칫 업체가 부도라도 날 경우 그 피해는 고스란히 농가에 전가되기 쉬운 상황이다. 이 경우 시설에 대한 유지 보수를 받지 못할 뿐 더러 업체마다 각기 다른 제품 표준을 사용하다보니 부품 교체도 쉽지 않아 결국 울며겨자먹기로 시설 전체를 다른 업체로 변경해야 하는 상황을 맞을 수도 있는 것이다. 

이같은 우려를 불식시키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스마트팜 ICT기자재에 대한 표준화 작업이 서둘러 이뤄져야 할 것이다.  

현재 스마트팜 분야의 표준화는 농촌진흥청이 주관해 추진되고 있다. 현재 스마트팜 관련 KS표준은 9건이며, 중소기업중앙회가 관장하는 단체표준(SPS)도 9건에 불과한 실정이다.

각 업체별로 제품을 출시하고 있는 현실에서 사후적으로 표준화하는 과정이 순탄하지만은 않을 것이다. 그렇더라도 각 이해관계자들간의 합의 과정을 거쳐 표준화를 서둘러 마련해 나가야 할 것이다. 

이와 함께 스마트팜을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데이터의 수집과 축적, 전문인력 육성, 연구개발 등도 이뤄져야 할 것이다.  

농업계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자리매김할 스마트팜이 성공적으로 안착하기 위한 정책적 지원과 제도 개선이 빠르게 뒷받침돼야 한다는 점을 재차 강조한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