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수축산신문=박세준 기자]

정보통신기술(ICT), 인공지능(AI), 빅데이터 등이 농업과 결합한 스마트팜은 노동력 부족과 기후변화로 위기의식이 심화되고 있는 농업의 유력한 비전이다.

우리나라 정부도 2014년부터 스마트팜을 농업의 핵심성장동력으로 보고 보급을 장려해왔고 그 결과 많은 농가에 보급되는 중이다.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2020년까지 시설원예 스마트팜의 누적면적만 해도 5985ha였고 이는 2014년 405ha에 비하면 10배 넘게 늘어난 면적이다. 그러나 스마트팜이 농업인들에게 친숙하고 현실성 있는 미래로 다가왔는지는 아직 미지수다.

지난달 25일 광주 김대중컨벤션센터에서 개최된 인공지능(AI) 국제 컨퍼런스인 AWC(AI World Congress) 2022에서 열린 ‘농업혁신을 위한 AI’ 토론회에서 스마트팜 기업들의 고민과 비전을 들을 수 있었다.

그중 가장 와닿았던 문제는 농업인들의 스마트팜에 대한 정보격차 문제였다.

이날 토론회의 참가자 중 한명인 권희준 팜한농 신사업팀장은 “사실 농가는 스마트팜을 하고 싶지만 정보의 격차로 인해 방법을 모른다”고 지적한 뒤 “스마트팜이 보편화되려면 농업인들이 직접 기자재나 솔루션을 만져보고 경험하고 사용해 볼 수 있는 민간의 플랫폼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지금과 같이 가끔 개최되는 2~3일간의 농업박람회나 ‘스마트팜 혁신밸리’라는 4개소의 거점만으로는 농업인들이 원활하게 정보를 얻기 힘들다는 것이다.

일본에서는 2018년부터 ‘스마트농업 현장 실행사업’을 통해 기술제공 농산업체, 농업인, 지자체, 정부·지역 연구소, 대학 등이 공동사업단을 구성하면 정부가 필요한 기자재 비용의 50~100%를 지원하고 있다. 정부의 보조를 받는 대신 모든 참여농가·기업·단체는 방문, 견학, 시찰을 할 수 있도록 개방해 스마트농업의 학습장 역할도 할 수 있게끔 했다. 농가는 기술을 무상으로 공여받을 수 있고 기업체는 자사 상품을 실증·홍보할 기회를 가질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 실행사업은 2018년에는 57개 사업으로 시작됐지만 2019년에는 156개 사업으로 확대될 만큼 현장의 호응이 크다.

국내에서도 일단 스마트팜을 접한 농업인들의 만족도가 높다. 권 팀장은 “딸기 농가들에게 모바일로 온·습도 모니터링을 할 수 있게 했는데 그때부터 농업인들의 잠재된 요구사항이 계속 나오기 시작했다”면서 “농가들에게 요구사항들에 대한 서비스를 돈 내고 쓰겠는가 설문도 해봤는데 70%는 긍정적으로 대답해 고무됐다”고 경험담을 말하기도 했다.

스마트팜에 진입하기 위해서는 막대한 투자금이 들어가기 때문에 농업인 입장에서는 신중할 수 밖에 없다. 농업인이 확신을 갖고 스마트팜에 진입할 수 있도록 정부 차원에서 소수의 거점형성을 넘어 스마트팜을 쉽게 경험할 수 있는 광범위한 플랫폼 구축을 고민해야 할 때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