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수축산신문=박유신 기자]

토끼해처럼 지혜롭고 슬기로운 기운 받는 2023년 되세요검은 토끼해가 밝았다. 계묘년(癸卯年) 새해에는 토끼의 지혜롭고 슬기로운 기운을 받아 우리 농어업계의 모든 어려움을 털어버리고 더 높이 도약하는 한 해가 되길 기원한다. 경기도 하남에서 40여 년간 토끼를 사육하고 있는 신우식 한국양토양록농협 조합원이 토끼들을 보고 환하게 웃고 있다. 사진=엄익복
토끼해처럼 지혜롭고 슬기로운 기운 받는 2023년 되세요검은 토끼해가 밝았다. 계묘년(癸卯年) 새해에는 토끼의 지혜롭고 슬기로운 기운을 받아 우리 농어업계의 모든 어려움을 털어버리고 더 높이 도약하는 한 해가 되길 기원한다. 경기도 하남에서 40여 년간 토끼를 사육하고 있는 신우식 한국양토양록농협 조합원이 토끼들을 보고 환하게 웃고 있다. 사진=엄익복

지난해 코로나19,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경기침체, 이상기후 빈번, 글로벌 물류대란 등 대외적 환경 악화 속에서도 꿋꿋하게 국민의 먹거리와 산업 발전에 기여해 온 우리 농축수산업계도 계묘년 새해를 맞았다.

지난해 초만 해도 전 세계는 코로나19 팬데믹에서 벗어나 안정적인 회복세를 보일 것이라는 희망도 있었다. 하지만 이후 러·우 전쟁에 따른 식량위기, 에너지 위기, 공급망 위기에 더해 환율과 물가 급등, 주요국의 급격한 금리인상 등이 더해지며 이른바 ‘3(환율·물가·금리)고(高)’ 현상이 농업을 포함한 국가경제 전체를 옥죄왔다.

# 대외 여건 악화로 민생 어려움 지속될 듯

이 같은 상황은 올해도 이어질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은 올 한해 세계경제를 ‘긴축과 파편화 속에 억눌린 회복’이라고 평했다. 이에 인플레이션 대응에 따른 통화긴축의 압박과 코로나 팬데믹에 대응한 재정지출에 다른 재정여력의 제약, 민감해진 시장 심리에 따른 부정적 효과 등에 주의할 것을 강조했다.

이런 가운데 국내 경제전망도 밝지 않다. 기획재정부는 올해를 전망하며 글로벌 경기위축 등 대외여건 악화에 따른 국내 실물경제 영향이 본격화되면서 민생 어려움이 가중될 것으로 우려했다.

가파른 금리인상 영향에 따른 내수 부진, 제조업 경기·교역 위축 등으로 세계경제의 성장세가 글로벌 금융위기와 코로나 위기를 제외하면 1990년 이후 가장 낮은 수준으로 예상되며, 우리나라 경제성장률 역시 1.6% 성장에 그칠 것으로 내다봤다. 물가 역시 당분간 높은 수준이 지속되면서 서민 생계비 부담이 우려된다고 밝혔다.

지난해 1445원까지 치솟던 원·달러 환율은 연말로 접어들면서 하락세를 보이며 지난달 29일 1260원대로 장을 마감했다. 올해는 지난해와 같은 급등락은 없겠지만 여전히 연평균 1300원대를 기록할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인 데다 인플레이션 피크아웃 지연, 지정학적 리스크 확대, 경상수지 악화 지속 등 위험 요인이 현실화될 경우 추가 상승 가능성도 배재할 수 없는 상황이다.

# 환율·물가·금리 불확실성 확대, 농업의 살길 모색해야

이처럼 환율, 물가, 금리 등의 불확실성이 확대되고 있는 상황에서 우리 농업도 산적한 현안을 해소하고 미래로 나아갈 힘을 축적하기 위해 노력이 필요하다.

특히 영세한 경영규모, 농업인구 고령화 등의 현실 속에 빈번해 지고 있는 자연재해 등 다양한 위험들이 우리 농업의 미래를 위협하고 있다.

지난해 우리 농업은 예상치 못한 환율 급등에 더해 국제 원자재 가격 인상으로 주요 농자재 가격이 상승하면서 생산비 부담이 가중된 한 해 였다. 관련 산업계 역시 환율 상승의 직격탄을 피하지 못하며 경영압박에 시달렸다.

비록 지난해 말부터 환율이 한풀 꺾이긴 했지만 올해도 여전히 높은 수준을 보일 것으로 예상돼 농가의 경영악화가 쉽게 해소되기는 힘들 것으로 보인다.

이에 농업 전문가들은 주요 원자재에 대한 모니터링 강화와 안정적 공급 대책 그리고 수요 관리 방안을 마련하고 직불금 규모 확대, 사료곡물 비축규모 확대, 사료가격안정기금 도입, 정책자금 지원방식 개선 등 농가의 소득을 보전하면서도 경영위기를 완충하기 위한 다양한 방안을 강구할 것을 주문하고 있다.

올해는 물가상승에 따른 소비심리 위축도 우리 농업과 관련 산업계가 극복해야 할 과제다.

기재부는 글로벌 원자재 가격 하락, 수요 둔화 등으로 올해 물가상승율이 3.5%로 지난해 5.1%보다는 낮아질 것으로 보고 있지만 고금리 영향 등으로 소비 회복이 쉽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따라서 유통 전문가들은 소비자들의 구매심리와 소비 트렌드 변화에 대응해 좀 더 차별화되고 세밀한 맞춤형 농식품 제품·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출 것을 주문하고 있다.

우리 농업의 크나큰 악재로 작용하고 있는 고금리의 여파에서 벗어나기 위한 노력도 강도 높게 이뤄져야 한다.

높은 금리는 기존 농업인의 경영 압박을 가중시키고 신규 농업인의 진입을 어렵게 해 농업 경제를 더욱 위축시킬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특히 부채를 많이 떠안고 있는 젊은 농업인이나 농업 정책자금의 자부담 부분을 고금리 대출로 충당한 농업인, 시설원예나 축산업 등 비교적 자본 투입이 많은 농업인의 경우 고금리 국면에서 농가 부실화가 가속화될 위험이 크다.

이미 미국의 경우 금리 인상에 따른 여파로 농작물 생산 감소와 식량 부족 문제까지 언급되고 있는 터라 우리나라에서도 이같은 우려가 현실화될 가능성이 높다.

이에 농업정책에 있어서도 자칫 한 번의 영농 실패가 경영위기로 이어지지 않도록 고금리 부채에 의존하지 않는 지원방식과 함께 농업시설 고정 투자를 확대하는 성장 지원 정책의 속도조절이 필요하다는 게 농업 전문가들의 견해다.

‘3고 시대’에 우리 농업은 미래 먹거리를 책임지는 산업이자 국가 경제를 지탱하는 한 축으로서 자리매김하기 위한 길을 열어 가야 한다.

이에 본지는 새해를 맞아 ‘‘3고 시대’ 우리 농업의 길을 묻다’라는 특별 기획을 통해 고환율·고물가·고금리 상황 속에서 우리나라 농업이 가야할 길에 대해 살펴보는 자리를 마련했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