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수축산신문=안희경 기자]

2018 평창 동계올림픽을 대비해 2017년부터 시작된 오리사육제한, 일명 휴지기제가 시행된지 6년째 접어든다. 매년 40%가 넘는 오리 농가들의 겨울철 사육이 중단된 지 6년이 넘은 것이다. 그 사이 14000억 원까지 갔던 오리 산업은 20208100억 원으로 떨어졌고 최근 생산량이 더 줄어든 것을 감안한다면 거의 반토막 난 상황이라고 볼 수 있다.

정부의 방역정책은 계속해서 강화되면서 오리사육제한은 효과를 보는 듯 했다. 그러나 지난해 겨울부터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가 발생하면서 110만 마리가 넘는 오리가 살처분 당했다. 오리가 줄어들면서 오리도매가격도 높아지고 있다. 이 가운데 산업을 지키려고 노력한 오리업계 종사자들은 가슴이 쓰리다. 수급불균형으로 오리도매가격이 높아지면 소매 가격까지 반영될 수 밖에 없고 이렇게 가격이 높아지면 소비자들은 다른 축종의 고기를 사기 때문이다.
오리산업을 키우기 위해 노력해 온 오리업계 종사자들의 노력은 AI와 정부의 정책탓에 타축종 고기에 오리시장을 내어주는 꼴이 돼 버릴 수밖에 없고 오리산업 자체가 줄어드는 악순환이 계속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최근의 정부 정책을 보면 AI로 죽은 오리보다 정책으로 줄어드는 오리 산업에 대한 걱정이 더욱 커진다. 농림축산식품부가 살처분 매몰비용의 일부를 계열화사업자에게 부담하도록 조치하는 공문이 지자체로 발송되면서 오리 계열화사업자들은 계열화사업 말살정책이라며 반발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같은 피해는 고스란히 오리 농가들에게 전가될 가능성이 크다. 사육제한으로 입식을 못하고 AI 발생으로 오리를 키우지 못하는 농가들이 늘어난데다 종오리 농장에서 AI가 발생하면 종란이 반출되지 못해 폐기되면서 생산량은 계속 줄어들기 때문이다. 1년에 반은 축사를 비워둬야 하는 오리농가들은 생계에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지만 보조금을 받고 오리를 키우지 않아도 돈을 버는 것 아니냐는 오해까지 받아야 하는 상황이다.

오리산업의 규모가 줄어들고 있는 안타까운 현실은 AI로 인한 오리의 죽음이 아닌 정책적 타살은 아닐지 심각한 고민이 필요할 때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