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수축산신문=김동호 기자]

 

지방소멸의 우려가 커지면서 청년에 대한 정책적 관심도가 높아지고 있다. 특히 청년들이 기피하는 농어업 분야에서는 그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 하지만 농림축산식품부와 해양수산부의 대응은 사뭇 다르다.

농식품부는 최근 조직개편을 통해 청년농육성팀을 신설, 청년농업인 육성을 전담할 조직도 마련하는 등 미래농업을 준비하고 있다. 이에 비해 해수부의 정책은 다소 아쉽다. 청년어업인 육성을 전담할 주체를 마련하기는커녕 어촌정책을 총괄하기 위한 컨트롤타워도 없는 실정이다. 이같은 차이 때문일까? 어가의 감소세는 농가의 감소에 비해 훨씬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농가인구는 2015년 대비 2021년에 7.3%가 감소했지만 같은 기간 어가인구는 26.9%가 줄었다. 특히 202193798명이던 어가인구는 2027년이면 74762명까지 줄어들 것으로 전망되고 있으며 어가의 고령화율은 47.5%까지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지금 추세대로라면 어촌의 소멸은 피할 수 없는 확정된 미래인 셈이다.

우리나라 인구 구조상 청년들의 숫자가 계속 줄어들 수밖에 없다. 이제 청년은 미래세대인 동시에 한정된 자원이 되고 있는 셈이다. 하지만 지금처럼 빈틈이 많은 청년어업인 육성 정책으로는 미래세대에 수산업에 종사할 청년들을 기대하기는 어렵다. 특히 수산업·어촌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감안하면 더욱 심각한 문제다.

문성혁 전 해수부 장관은 역대 최장수 해수부 장관이다. 하지만 그는 재임기간 중 청년어업인과 단 한차례의 간담회조차 갖지 않았다. 지난해 취임한 조승환 해수부 장관 역시 해가 바뀌도록 청년어업인을 만나지 않았다. 이런 가운데 해수부는 올해 비전으로 단단하고 든든한 해양강국을 제시했다. 미래 세대에 관심을 갖지 않은 채 단단하고 든든한 해양강국이 만들어질 수 있을까?

코앞까지 다가온 어촌의 미래는 고령화와 소멸위기다. 인구의 감소세와 지방의 소멸위기를 꺾을 수 있는 유일한 자원인 청년에게 관심을 갖지 않는 수산정책은 어떠한 미사여구를 붙이더라도 사상누각에 불과하다.

해수부가 이제부터라도 청년이라는 자원을 확보하는 경쟁에 본격적으로 뛰어들어야 하는 이유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