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수축산신문=김동호 기자]

청년이 돌아오는 수산업·어촌을 만들기 위해서는 청년들의 귀어 초기 자금지원을 강화하고 수산업·어촌분야의 폐쇄성을 완화, 진입장벽을 낮출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본지와 한국해양수산개발원이 공동으로 주최한 ‘청년의 눈으로 본 수산업·어촌은’ 권역별 좌담회에 참석한 청년어업인들은 귀어 초기 자금부담이 크다는 점과 수산업·어촌 진입시 진입장벽이 너무 높다는 점을 귀어의 애로사항으로 꼽았다.

지난달 26일 열린 전북 권역 좌담회에서 임종성 선장(부안)은 “내 경우 3억 원 이상 대출을 받아 어선을 건조했는데 대출이 5년거치 10년 상환인터라 원금상환시점이 오면 매년 4000만 원 이상의 대출금을 일시에 상환해야한다”며 “귀어한 청년 중 매달 400만 원 가량 적금을 넣을 수 있는 사람이 있기는 한지 궁금하다”고 말했다.

지난 6일 열린 부산·울산·경남 권역 좌담회에서 임재욱 어업인(남해)도 “농업부문은 정책자금이 20년에 걸쳐 상환하도록 돼 있지만 수산부문은 10년 동안 상환하도록 돼 있어 상환시점부터 부담이 매우 커진다”며 “우리 마을이 농업과 어업을 같이 하는데 농업을 하는 사람들은 상환부담이 덜하다보니 가계자금에서도 어업을 하는 사람에 비해 여유가 있다”고 말했다.

아울러 어촌의 폐쇄성 개선과 교육프로그램 개선의 필요성도 제기됐다.

한석준 어업인(부산)은 “선대로부터 어업을 승계받은 사람들은 서류만 작성하면 조건없이 어촌계에 가입되고 주민들의 텃세도 경험하기 어렵지만 신규로 들어가는 사람들에게는 어촌계 가입부터 난관이다”며 “나는 5대째 부산 영도구에서 살고있는 토박이인데도 어촌계에 가입하려고 보니 벽이 너무 높다는 것을 실감했다”고 토로했다.

이봉국 어업인(부안)은 “정부에서 귀어학교를 통해 4~6주 가량의 교육프로그램을 마련했지만 이 교육만으로 혼자 독립해서 조업을 할 수 있다고 생각하지는 않는다”며 “교육프로그램을 한층 강화해야 귀어에 실패하는 사례를 줄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