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수축산신문=박세준 기자]

 

소나무재선충병의 확산세가 기세를 타면서 방역당국이 비상에 걸렸다. 자연스럽게 재선충병이 언론에 노출되는 일이 비교적 잦아지면서 친환경 방제논쟁도 떠오르고 있다.

재선충병 친환경 방제는 사실 최근의 일이 아니라 오래전부터 다뤄온 주제다. 소나무를 살리겠다면서 헬기로 약제를 살포하는 영상·사진을 보면 이게 숲에 좋은 것인가 생각이 들기도 한다. 더구나 지난해 겨울부터 발생한 대규모 꿀벌 군집붕괴 현상의 원인으로 재선충병 방제에 주로 쓰이는 네오니코티노이드 계열의 농약이 지목되면서 약제를 사용한 재선충병 방제는 더욱 비판받기 시작했다.

물론 학계에선 일반적으로 곤충 다양성이 떨어지는데 농림업에 사용되는 농약을 중요한 원인으로 지목하고 있다. 하지만 이번 꿀벌 군집붕괴 현상을 네오니코티노이드 계열의 재선충병 방제약제만의 책임이라고 하기엔 지나친 단순화다. 그러기엔 기후변화, 응애, 말벌 등 다양한 변수가 있다.

친환경방제를 위해 주목받는 유기농자재들도 한계가 있기는 마찬가지다. 페로몬으로 매개충을 유인하는 페로몬 트랩, 미생물을 활용한 약제, 천적을 이용하는 방제 등 모두 소나무를 효과적으로 지킬 수 있는 방제효능을 못 보여주고 있다. 게다가 유기농자재라고 해서 생태계 교란 가능성이 없는 건 결코 아니다.

외국처럼 재선충병에 감염됐다고 항상 주변 나무들까지 모두 베어버리고 다른 나무를 심기도 어려운 상황이다. 소나무는 우리나라 산림에서 가장 많이 자라는 나무로 산림의 22%를 차지하고 있다. 또 남녀노소 가리지 않고 시민 모두가 가장 애호하는 나무이기도 하다. 이런 상황에서 한정된 예산과 인력으로 소나무 숲을 지키기 위해선 약제방제를 할 수밖에 없는 게 현실이다.

결국 소나무도 지키고 약제 사용을 최소로 억제하는 두 마리 토끼를 잡기 위한 방법은 철저한 예찰뿐이다. 감염되는 나무가 줄어들고 불확실성이 줄어들수록 무차별적인 약제사용을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재선충병 방제예산은 전년도 감염목 추이에 따라 계속 변화해 안정적으로 예산을 확보해 예찰하기 어려웠다. 그러다 보니 재선충병 피해도 가라앉을 만하면 다시 증가하는 일이 반복돼 오늘에 이르렀다.

재선충병은 진단이 쉽지 않고 무증상 감염목도 있기 때문에 재선충병 피해지는 2~3년간 정밀하게 예찰하며 관리해야 한다. 또 감염목을 제거하더라도 베어낸 감염목을 훈증 처리해야 할 때는 훈증 더미 관리도 필요하다. 이 모든 것은 예산과 인력이 필요한 일이다.

산림청은 재정당국을 잘 설득해 우리나라 산림과 소나무의 생태계적 건강성을 지키고 시민사회에서 제기한 문제도 생산적으로 해결할 수 있길 바란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