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돼지수의사회
수의정책포럼

[농수축산신문=홍정민 기자]

아프리카돼지열병(ASF) 바이러스를 막기 위해선 8대 방역시설 등 하드웨어 설치 못지않게 출하차, 출하기사, 돼지 이동 동선 분리 등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의 모니터링에 더욱 역량을 집중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한국돼지수의사회(회장 최종영)가 지난 16일 서울 서초구 더케이호텔서울에서 ‘2023년도 수의정책포럼’을 개최한 가운데 이 자리에선 ASF 8대방역시설, 동물약품 유통 문제점 관납백신, 제3종 가축전염병 관리 체계 등 다양한 정책과제가 조명됐다. 

특히 최지웅 지웅동물병원장은 이날 첫 번째 세션 발제를 통해 ASF 비발생지역의 8대 방역시설 설치 문제 등을 거론했다. 

호남 지역에서 8대 방역시설 컨설팅 업무를 담당한 최 원장은 “현장에선 ASF 바이러스 유입 차단이라는 궁극적 목표보다는 의무화된 시설을 형식적으로 갖추는 데 그치고 있다”면서 “실제로 야생동물이 드나들 수 있는 구멍이 생긴 외부울타리를 비롯해 돈사 입구에 이동식 탈부착 전실 부스를 만들어 눈속임하는 사례 등이 공공연하게 벌어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최 원장은 또한 “출하·분뇨를 통제하지 않으면 결국 방역시설을 설치하는 의미가 없다”며 “대부분 출하·분뇨차가 농장 내부로 진입해야 하는 2형 농장의 경우 차량과 농장 내부에서 돼지·사람 이동 동선이 겹치지 않도록 내부울타리를 제대로 설치하거나 출하대 위치·경로를 변경하는 등의 조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문제는 형식적인 8대 방역시설 설치·운영 등으로 돼지유행성설사병(PED)이 지속 발생하고 있다는 점이다.  

최 원장은 “지난해 직접 컨설팅한 농장 6곳 중 4곳에서 PED가 발생했다”며 “ASF 바이러스 유입을 막기 위해선 방역시설이나 출하차 관리 등 소프트웨어 부분이 더욱 중요한 만큼 일선 돼지수의사가 농장의 혈액검사 모니터링과 8대 방역시설 정기 모니터링, 출하차·출하기사에 대한 정기 모니터링 등을 담당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