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수축산신문=김소연 기자]

꿀벌 집단폐사로 생존권을 위협받고 있는 양봉농가들이 생존권 사수를 위해 거리로 나왔다.

한국양봉협회(회장 윤화현)9일 정부세종청사 농림축산식품부(이하 농식품부) 앞에서 꿀벌 집단폐사에 대한 피해 대책을 촉구하기 위해 전국 양봉인 생존권 사수 총궐기대회를 열었다.

이날 집회 참석한 5000여 명(주최 측 추산)의 양봉인들은 꿀벌 집단폐사 보상금 지급과 꿀벌 입식자금 지원 꿀벌 집단폐사 자연재해 인정 꿀벌의 공익적 가치 인정과 양봉직불금 도입, 벌꿀 의무자조금 시행 꿀벌 병해충 방제약제 정부 지원 예산 확대 농식품 내 양봉 전담팀 신설 등을 요구했다.

특히 이날 모인 양봉농가들은 정부가 꿀벌 집단폐사의 원인을 농가 탓으로 돌리는 것에 대해 억울함을 강력하게 호소했다. 농가들이 이처럼 억울함을 호소하고 있는 이유는 농식품부가 지난달 22일 발표한 꿀벌 피해 상황진단과 대책 때문이다.

농식품부는 지난해 9월부터 11월까지 전국적으로 약 40~50만 봉군이 사라졌다고 발표했다. 벌통 하나당 평균 2만 마리의 벌이 서식하는 걸 따지면 약 100억 마리의 벌들이 사라진 것이다. 100억 마리의 벌들이 사라졌음에도 농식품부는 양봉산업과 자연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이며 꿀벌 폐사의 주원인을 응애 방제 실패로 지목했다.

이에 대해 양봉농가들은 이상기후 변화에 따른 연이은 흉작, 꿀벌의 면역력 저하에 따른 질병 발생 만연, 무분별한 농약 살포, 이유를 알 수 없는 바이러스 등에 의한 피해라며 이는 농가의 노력만으로는 해결할 수 없는 상황이라고 주장했다.

그린피스에서도 꿀벌 집단폐사는 기후 변화와 밀접한 연관이 있다고 밝혔다. 그린피스는 성명서를 통해 지난해 남부 지방에서는 역대 최장의 가뭄을 기록했으며 연평균 기온은 12.9도로 평년보다 0.4도 높아져 응애가 활동하기 좋은 환경이 조성됐다며 꿀벌 실종으로 인한 자연생태계 붕괴는 농업은 물론이고 인류의 생존마저 위협하는 중차대한 문제라고 지적했다.

꿀벌 집단폐사 현상은 2021년 남부 지방을 시작으로 전국에 거쳐 지난해와 올해까지 발생해 양봉농가들의 생계를 위협하고 있다. 반복적인 꿀벌 집단폐사로 꿀벌이 귀해져 10만 원 초중반 대하던 벌통 가격은 50만 원을 웃돌고 있다.

윤화현 양봉협회장은 꿀벌 집단폐사 현상에 대해 농식품부가 농가 책임으로 돌리는 것에 대해 이해가 가질 않는다면서 “30, 40년씩 양봉을 전업으로 하고 있는 농가가 응애 방제를 제대로 하지 못한다는 것은 말이 되지 않는다고 억울함을 호소했다.

그는 이어 양봉인들은 응애 방제를 위해 밤낮을 가리지 않고 최선을 다하고 있지만 자고 일어나면 벌들이 사라져 있다면서 농식품부가 정확한 원인과 피해 정도도 제대로 파악해 보지 않고 농가 탓만 하고 있는 현실이 안타깝다고 말했다.

한편 이날 집회에서는 윤화현 회장을 비롯한 양봉협회 회원들이 꿀벌 집단폐사에 대한 정부 차원의 실태조사와 지원대책을 촉구하기 위해 삭발식을 가졌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