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지 해녀문화 이어지기 위해 정부·지자체 차원 지원 정책 필요

[농수축산신문=김동호 기자]

 

“‘해녀’라고 하면 대부분의 사람들은 제주해녀만 떠올려요. 하지만 육지에도 많은 해녀들이 일하고 있습니다. 제주해녀 문화 뿐만 아니라 육지의 해녀문화가 이어지기 위해서는 정부와 지자체 차원에서 해녀를 육성하고 지원하는 정책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경남 거제시에서 해녀일을 하고 있는 우정민 씨는 육지의 해녀문화가 이어지려면 정부와 지자체에서 보다 많은 관심을 가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세 아이의 엄마인 우 씨는 해녀가 되기 전 바다에 가도 발을 담그는 데 그치는 수준이었다고 한다. 그랬던 그가 해녀일을 시작하게 된 것은 남편의 회사가 어려워지면서 직업을 구하던 시기에 지인이 해녀업을 같이 하지 않겠냐고 권유를 받아들이면서부터다. 
 

그는 “처음 해녀일을 시작할 때는 수영도 전혀 할 줄 몰랐던 상황에서 1년 간 일을 배우면서 했다”며 “첫 1년은 월 소득이 30만 원 수준이었지만 바다에서 하는 일이 너무 즐거웠었다”고 회상했다.
 

우 씨는 제주지역과 달리 육지의 해녀에 대해서는 사람들이 알지도 못할뿐더러 정부나 지자체에서도 관심이 없다보니 육지의 해녀문화가 사라져가게 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거제지역만 놓고 봐도 해녀의 대부분이 60대 이상이에요. 그런데 해녀가 되기 위해 들어오는 젊은 사람들은 일을 시작하는 시기에 수익이 너무 적은데다 일이 힘들어서 금방 떠나게 됩니다. 마을에서 홀로 이방인처럼 느껴지는 분위기인 것도 한 몫하구요. 이 추세가 이어진다면 육지의 해녀문화는 사라지고 말 거에요.”
 

우 씨는 새로 들어올 청년들이 안정적으로 정착할 수 있도록 다양한 정책적 지원이 마련되길 바란다고 전했다.
 

그는 “거제지역은 해녀가 워낙 소수이다보니 지원되는 것이 1년에 한차례 잠수복을 지원하는 수준에서 그치고 있다”며 “이는 다양한 해녀 육성 정책과 지원정책을 마련하고 있는 제주도와 대비된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해녀는 큰 자본이 없이 어촌에서 일을 시작할 수 있다는 것이 장점”이라며 “정부와 지자체가 해녀업에 대해서도 많은 관심을 가져준다면 많은 청년들이 해녀업에 진입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