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의약사 정책 토론을 위한 심포지엄

[농수축산신문=이문예 기자]

 

작물보호제 유통 단계의 전문성 제고를 위해 식물의약사 제도 도입이 시급하다는 주장이 힘을 얻고 있다.

지난 20일 전북대 농업생명과학대학에서는 농촌진흥청 항생제 농약 내성 최소화 모델 정책연구팀 주최로 식물의약사 정책 토론을 위한 심포지엄이 개최됐다. 현장에는 농촌진흥청 관계자를 비롯해 농업인과 판매관리인, 관련 학과 교수 등 산관학연 관계자가 참석해 다양한 의견을 교류했다.

이날 발표자로 나선 김재수 전북대 교수는 지난해 한국농수산대와 순천대, 전북대가 공동으로 진행한 설문결과를 공개하며 농가의 80.3%, 판매관리인(시판상)86.6%가 작물보호제 구입과 사용, 진단과 처방에 있어 전문가가 필요하다고 응답했다며 식물의약사 제도 도입이 필요함을 강조했다.

이어 김 교수는 그간 농림축산식품부와 농진청의 노력으로 작물보호제의 연구개발·등록 단계의 전문성은 높아졌지만 여전히 유통 단계에서의 전문성은 낮은 편이라며 식물의약사 제도 도입을 통해 작물 병해충의 정확한 진단과 처방으로 작물보호제 사용의 안전성을 제고하고 유통조직의 역량과 경쟁력을 높여 나가야 한다고 덧붙였다.

권덕호 한국농수산대 교수도 일본, 유럽, 미국 등에선 전문성을 갖춘 자격 있는 자가 병해충 진단과 약제 처방 등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작물보호제의 안전한 사용을 위해서는 제조·유통 분야 체계화뿐만 아니라 실사용자에 대한 교육과 자격 부여를 통해 지속가능한 작물보호제 사용이 이뤄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실제로 일본은 우리나라의 농업기술센터 지도자에 해당하는 보급 지도원을 두고 있으며 유럽과 미국은 자격 시험을 통해 일정한 자격을 갖춘 자를 통해 작물보호제를 구입·살포할 수 있도록 하는 등 관련법 마련을 통해 식물의약사 제도와 유사한 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현장에 모인 다수의 참석자들은 이 같은 주장들에 대해 공감대를 표했다.

다만 식물의약사에 대해 명확한 정의를 확립하고, 기존 작물보호제 판매관리인의 제도권 수용 방안 마련이 전제돼야 한다는 지적도 제기됐다.

이영식 전국작물보호제유통협회 전무는 현재도 작물 생산과 안전한 먹거리 공급에 문제가 전혀 없는 상황에서 오히려 식물의약사 제도 도입으로 기존 판매관리인이 피해를 입을 우려가 있다면 이에 대한 구제책도 함께 마련돼야 한다많은 경험과 노하우를 쌓아온 판매관리인들이 식물의약사 제도에서 소외되지 않도록 준비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