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수축산신문=박현렬 기자]

 

농림축산식품부와 축산물품질평가원이 기후변화에 대응하고 우리 축산물의 경쟁력을 높이고자 저탄소 축산물 인증을 희망하는 농가 중 예비대상자를 선정해 교육과 컨설팅, 심사를 진행 중이다.

저탄소 축산물 인증은 축산 분야에서는 처음으로 추진되는 정책으로 현재 한우에 대한 시범사업이 실시되고 있으며 이르면 다음달 말 저탄소 인증 한우가 출하될 전망이다.

축산물 생산과정에서 저탄소 축산기술을 적용해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인 농가에 인증마크를 수여하는데 탄소중립에 기여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관심이 많다. 이 같은 관심이 농가 소득까지 이어지기 위해서는 관련 정책이 생산뿐만 아니라 유통, 소비까지 이어져야 한다.

유통현장에서는 축산농가 스스로 환경개선을 위해 앞장서고 있다는 스토리를 바탕으로 상품을 개발할 경우 초기 판매가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다. 그러나 입을 모아 하는 말은 소비자들이 축산물의 품질과 맛을 중요하게 생각하기 때문에 조리했을 때 기존 축산물과 같은 맛이 나야 한다는 것이다.

물론 현재는 저탄소 축산물 인증이 가능한 농가 파악과 인증조건이 합리적인지 판단하는 시범사업이 추진 중이다. 그러나 32개 농가가 사업에 참여하고 이들 농장이 개인적으로 마케팅과 판매를 진행하기 쉽지 않은 만큼 유통, 소비 단계의 정책에 대해서도 고민을 해야 한다.

일례로 저탄소 인증 축산물에 대한 사업 주관을 정해 브랜드를 만들고 이를 바탕으로 소비를 촉진하는 방법도 있을 것이다. 대형유통업체들이 저탄소 축산물 한우에 대한 관심이 있지만 농장 개별적으로 거래를 진행할 경우 농가가 거래 우위를 점하기 쉽지 않다. 이에 사업 주관이 브랜드를 만들고 농가와 소비자를 잇는 가교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이 같은 부분이 선행돼야 농가 소득향상으로 이어질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소비자들이 맛에 민감한 만큼 등급이 낮은 저탄소 한우의 경우 맞춤형 요리를 홍보하거나 현재 출시된 요리 기계 등을 활용해 맛을 보완할 수 있는지 등도 파악할 필요가 있다. 관련 정책이 생산 단계뿐만 아니라 유통, 소비까지 물 흐르듯이 추진되지 않을 경우 저탄소 인증 축산물 사업은 더 나아가기 힘들 것이다.

축산농가 스스로 필요성을 느껴 참여를 희망한 저탄소 축산물 인증사업인 만큼 그 성과가 뚜렷하게 나타나 축종 전반에 걸쳐 사업이 추진되고 농가 소득 창출에도 새로운 전환점이 되길 바란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