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산림과학원

[농수축산신문=박세준 기자]

국립산림과학원이 지난 27년간 수행한 산불피해지의 복원 연구성과를 발표했다.

산림과학원은 지난 3일 정부대전청사에서 산불피해지 복원의 주요 연구결과와 미래 방향을 발표, 대형산불피해지에 대한 산림복원 정책의 과학적 근거와 절차를 설명했다.

산림과학원이 1996년 강원 고성 산불 피해지, 2000년 동해안 살불피해지에 설치한 장기연구지에서 연구를 수행한 결과 먼저 소나무 조림 복원이 활엽수 조림 복원보다 효과가 우수하다는 것을 밝혀냈다. 산불피해지에 조림된 수종의 1년 후 생존율은 소나무는 평균 89%에 달했지만 활엽수는 평균 53%에 지나지 않았다.

조림복원지와 자연복원지를 비교할 때 숲 회복력은 조림복원지가 우수하지만 토양 회복력은 자연복원지가 우수했으며 산불 후 생물다양성이 회복되기 위해서 어류는 3, 수서동물은 9, 곤충은 14년 안에 회복되지만 20년이 지난 후에도 포유류는 81~86%, 조류는 62~72% 수준으로 회복돼 서식지 개선 기술 개발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우리나라 대형 산불피해지 복원은 과학적인 근거와 이해당사자의 참여를 바탕으로 수립되는 복원계획에 따라 추진된다. 산불피해지의 복원원칙, 기준·절차, 복원방법을 과학적이고 체계적으로 제시하고 있는 산불피해지 복구 지침(2010)’1996년 강원 고성 산불과 2000년 동해안 산불을 복원하는 과정에서 얻은 경험과 교훈을 바탕으로 제작됐다.

향후 산림과학원은 산불피해지의 유형에 맞게 복원기준을 탄력성 있게 개선하고 결정 체계를 자동화해 의사결정이 신속히 이뤄질 수 있도록 산불피해지 복원지침을 개선할 계획이다. 또 산불피해지의 생태계 회복과정을 밝히는 100년 장기 관찰 연구를 위성, 드론, 센서 네트워킹 등 첨단 기술을 활용해 추진하고 산불의 피해를 줄일 수 있는 내화수림의 적정배치와 조성 기술 역시 개발해 산불 취약지에 적용할 예정이다.

배재수 산림과학원장은 산림과학원은 앞으로도 산불피해 장기 관찰과 기술개발로 산불에 강하고 경제·사회·환경적 가치를 반영하는 산림복원에 기여하겠다고 전했다.

한편 산림과학원은 1996년 강원 고성 산불을 계기로 1997년 약 153ha의 장기연구지를 설치했으며 2000년 동해안 산불 이후에도 강원 삼척 지역에 4000ha를 연구대상지로 추가해 산불피해지 산림생태계 회복과정을 밝히고 복원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