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수축산신문=김소연 기자]

계란공판장이 도입된 지 1년이 넘었음에도 여전히 자리를 잡지 못하고 있어 정상화가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계란공판장은 계란 가격 투명화와 계란 유통 구조 개선을 위해 2021년 말 경기도의 한 업체를 시작으로 현재는 총 3곳에서 운영되고 있다.

정부는 계란공판장 활성화를 위해 상장수수료, 운송비, 선별비용 지원 등을 통해 농가 참여를 유도하고 있지만 농가들의 반응은 여전히 시큰둥하다.

농가 입장에서는 농장 문전 판매가와 공판장 낙찰가가 큰 차이가 없고 오히려 공판장 출하 시 추가 비용이 발생해 공판장 이용에 큰 매력을 못 느끼고 있기 때문이다.

대한산란계협회 자료에 따르면 공판장으로 이동할 때마다 유통비, 상장수수료, 파각란 발생 비용 등을 감안하면 후장기가 있을 시 현물 경매에서는 5톤 화물차량 1대당 약 423만 원, 사이버 경매 시에는 약 127만 원의 손실액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파각란 발생 우려 등으로 농가들이 올린 사진과 산란주령 등의 정보만 보고 온라인 경매로 진행되고 있어 공판장 낙찰 가격에 대한 신뢰성에 문제가 있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공판장에 새로운 참여자가 유입되기보다는 공판장을 운영하는 업체에 계란을 납품하고 있는 기존 농가만 참여하는 형식으로 이뤄지고 있다.

참여율 저조로 출하자 대금결제, 구매자 즉시 납부에 문제가 발생해 공판장 운영 업체에서는 경매 낙찰가에서 후장기를 뺀 가격으로 정산을 하고 있는 상황이다. 계란 유통 선진화를 위해 등장했지만 후장기 등 불합리한 유통구조가 허용되고 있는 것이다.

계란공판장 운영을 두고 문제가 끊임없이 지적되자 정부는 이에 대한 개선책으로 계란유통센터를 추진하겠다고 밝혔지만 여러 이유로 진행 속도가 지지부진하다.

계란공판장이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우선 가격의 대표성과 공정성을 확보해 참여 주체인 농가의 참여율을 높여야 한다.

이를 위해 정부에서는 일방적으로 밀어붙이기보다는 계란 생산 농가의 말에 귀 기울여 볼 필요가 있다. 계란공판장 도입 취지는 좋다. 의도가 좋은 만큼 정부에서는 농가들의 의견을 수용해 현실성 있는 대안을 찾았으면 한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