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식품부
'2023 해외 바이어 초청 수출상담회'서
총 31건, 1900만 달러 규모 계약 성과
지난 1월 수출확대 추진본부 출범 후
170여 개 기업과 면담·간담회서 발굴된
현장애로·건의사항 지원방안 마련
주요 수출품목 10개 선정 드라마 간접광고
수출통합조직 육성·국제식품박람회 확대
신산업분야 대출·보증 지원 등 추진 예정

[농수축산신문=홍정민 기자]

농식품부는 한국 농식품은 물론 스마트팜, 농기자재 등 전후방산업을 더해 농식품산업과 연관산업을 수출전략 산업으로 육성하겠다고 밝혔다. 사진은 지난달 19~21일 서울 양재동 aT센터에서 열린 ‘2023 해외 바이어 초청 수출상담회’에서 정황근 농식품부 장관(가운데)이 김춘진 aT 사장(오른쪽 두 번째)과 행사장을 둘러보고 있는 모습.
농식품부는 한국 농식품은 물론 스마트팜, 농기자재 등 전후방산업을 더해 농식품산업과 연관산업을 수출전략 산업으로 육성하겠다고 밝혔다. 사진은 지난달 19~21일 서울 양재동 aT센터에서 열린 ‘2023 해외 바이어 초청 수출상담회’에서 정황근 농식품부 장관(가운데)이 김춘진 aT 사장(오른쪽 두 번째)과 행사장을 둘러보고 있는 모습.

한국의 대중음악을 의미하는 케이팝(K-Pop)이 세계에 몰아치며 케이(K)-열풍으로 자리잡은 가운데 윤석열 정부가 수출 드라이브를 강력히 걸면서 농업계의 최근 움직임도 주목을 받고 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한국 농식품을 의미하는 ‘케이-푸드(K-Food)’에다 스마트팜, 농기자재 등 전후방산업을 더(+)해 농식품산업과 연관산업을 수출전략 산업으로 육성하겠다는 계획이어서 귀추가 주목된다.

농림축산식품부(이하 농식품부)는 지난달 19~21일 열린 ‘2023 해외 바이어 초청 수출상담회’를 통해 ‘K-Food+ 수출 확대의 장’을 마련했다.

수출상담회에는 우리나라를 포함해 전 세계 40개국에서 136개 해외 바이어, 320개 국내 수출기업 등 456개 기업이 참가하면서 코로나19 이후 최대 규모로 개최됐다.

농식품부는 수출상담회 현장에서 총 31건의 수출 계약을 맺었다고 밝혔다. 올해 현장 계약 금액은 1900만 달러 규모로 지난해의 경우 코로나19 여파로 인해 상담회가 축소되면서 300만 달러 규모의 계약이 이뤄진 것을 감안하면 큰 폭의 증가다.

부문별로 음료, 과일, 떡볶이, 김치 등 농식품 계약이 21건으로 1000만 달러 규모를, 작물영양제, 친환경살균제 등 농식품 전후방산업 계약은 10건, 900만 달러 규모를 나타냈다.

정황근 농식품부 장관(오른쪽)이 수출상담회에 참석한 해외 바이어와 인사를 나누고 있다.
정황근 농식품부 장관(오른쪽)이 수출상담회에 참석한 해외 바이어와 인사를 나누고 있다.

수출상담회에 해외 바이어로는 까르푸(유럽), 이온(일본), UNFI(미국), 허마셴셩(중국), 파큰샵(홍콩), 라자다(온라인) 등이 참가한 가운데 농식품 분야는 아세안, 중화권, 북미, 중남미, 유럽 등 주요 시장 33개국 108개 바이어와 242개 수출기업이 참가했고 전후방산업은 28개 바이어와 78개 수출기업이 참가했다.

정황근 농식품부 장관은 수출상담회와 연계해 주요 식품기업, 스마트팜·농기자재 등 전후방산업 기업대표, 유관기관장 등 20여 명과 함께 ‘K-Food+ 수출 확대 추진본부’ 제2차 간담회를 주재했다.

간담회에선 기업별 수출동향과 향후계획에 대해 논의하고 지난 1월 수출확대 추진본부 출범식 이후 그동안 170여 개 기업과 면담, 간담회 등을 통해 발굴된 현장애로와 건의사항에 대한 지원방안도 설명했다. 

한류를 활용한 해외 마케팅 확대 요청에 따라 △해외 한류 콘서트 연계 농식품 홍보와 K-Food 페어(일본, 미국 등 7개국)를 개최하고 △김치, 장류, 인삼, 딸기, 포도, 배, 파프리카, 쌀가공식품, 반려동물사료, 음료 등 주요 수출품목 10개를 선정해 드라마 등에 간접광고(PPL)를 추진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국내외 물류 지원 확대와 원료농산물의 안정적 공급 요청에 대해선 △품목별 수출통합조직 육성 등 간접보조 강화 △농식품 수출전용 선복(5→7개)·항공기 운영 노선(2→8개) 확대 △해외공동물류센터(콜드체인포함) 지원 한도 확대(기업당 최대 3500→8000만 원) △수출용 김치의 안정적인 생산을 위한 국산 배추 저장?보관료 지원(총 5억원, 기업당 최대 5000만 원) 등을 지원한다.

신규거래선 발굴을 통한 수출시장 다변화를 위해 △바이어 초청상담회 확대(1→2회) △국제식품박람회 참가 확대(19→24회) △온라인 한국식품관 확대(11→15개)와 농식품 역직구몰(5개) 운영 등을 추진한다.

전후방산업의 수출을 확대하기 위해서 △스마트팜 수출융자(1000억 원 규모, 기업당 최대 50억 원) 신규 지원과 스마트 농업 펀드(200억 원) 조성 △수출펀드(200억 원) 조성 △농기계 원자재 구입자금 규모 확대(2000→3000억 원)와 기업당 지원한도 확대(중견 500→600억 원, 중소 50→60억 원) △비료가격 경쟁력 강화를 위한 자금지원(6000억 원) 대상 원료 품목 확대(9→12개) △수출용 동물의료기기에서 의약품 등의 안전·유효성을 보장하는 관리기준인 GMP제도 도입(농식품부령 개정, 6월 목표) △그린바이오 제품 공공기관 우선구매제도 도입(연내 법 제정 목표) 등을 추진할 계획이다.

농식품부는 이와 더불어 스마트농업, 푸드테크, 그린바이오 등 농식품 신산업분야에 대출·보증 지원과 관련해 산업은행 5500억 원, 기업은행 1400억 원, 신용보증기금 1조5000억 등 2조2000억 원을 정책금융자금으로 지원한다. 또한 금융위원회·산업은행 혁신산업 펀드 1조5000억 원, 성장지원 펀드 1조5000억 원 등 혁신성장펀드 3조 원을 연내 결성할 예정이며, 수출기업들이 이 같은 신규 지원사업들을 활용할 수 있게 적극 지원할 계획이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